신당 창당 보다는 암중모색으로
법원·윤리위에도 다 막힌 이준석
사면초가 속 과연 이준석 행보는
탈당 보다는 당내 야당이 되나

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가 지난달 28일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당헌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 사건 심문을 마친 뒤 청사를 나서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가 지난달 28일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당헌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 사건 심문을 마친 뒤 청사를 나서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의 국민의힘 투쟁은 패배했다. 정진석 비대위원회를 법원이 인정해줬으며, 당 윤리위원회에서는 당원권 정지 1년을 추가로 징계했다. 이로써 당 대표로의 복귀는 사실상 무산됐다. 또한 탈당 권유나 제명이 아닌 당원권 정지 1년 추가 징계이기 때문에 탈당의 명분도 사라졌다. 즉, 신당 창당의 명분도 사라졌다. 이로써 이 전 대표는 손발이 완전히 묶인 상태에서 암중모색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이 전 대표는 국민의힘 안에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됐다. 정치적 사형선고가 내려진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 전 대표는 정치적으로 완패했고, 법률적으로도 완패했다. 윤핵관을 몰아내려고 했던 그의 꿈은 사라졌다.

정치적 완패

윤리위는 7일 오전 0시 24분경 약 5시간 반에 걸친 징계 심의를 마치고 난 뒤 이 전 대표에 대해 “지난 7월 8일 결정된 6개월에 추가해 당원권 정지 1년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결국 이 전 대표는 당 대표직을 완전히 박탈당했다. 법원이 비대위를 인정하면서 최고위원회의로의 복귀가 무산된데 이어 윤리위가 당원권 정지 1년을 추가 징계하면서 전당대회 출마를 원천봉쇄했다. 아울러 총선 출마도 불투명하게 됐다.

이 전 대표가 국민의힘 안에서 할 수 있는 것은 ‘여론전’ 이외에는 없다. 하지만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바라기 때문에 이 전 대표의 목소리를 제대로 귀 기울여 들을 사람이 없다.

이 전 대표 입장에서는 윤리위가 탈당 권유 혹은 제명 징계를 내리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징계이다. 왜냐하면 그렇게 되면 탄압을 받아 국민의힘을 나간 것처럼 비쳐지기 때문에 신당 창당의 발판을 마련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원권 정지 1년 추가 징계는 탈당의 명분과 신당 창당의 명분을 사라지게 만들었다. 이 상황에서 이 전 대표가 탈당을 한다면 그것은 자발적 탈당이기 때문에 탈당과 신당 창당의 명분이 약하다.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 [사진제공=뉴시스]<br>
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가 지난달 28일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당헌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 사건 심문을 마친 뒤 청사를 나서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죽어야 산다

이 전 대표가 노린 것은 자신은 탄압을 받고 있고, 이런 이유로 어쩔 수 없이 신당 창당을 하게 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원천봉쇄 되면서 이 전 대표로서는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이를 두고 호사가들은 인목대비가 광해군에 의해 서궁(현 덕수궁)에 유폐된 것이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그만큼 이제 이 전 대표에게는 정치적 실권이 없다는 것이다.

이 전 대표가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여론전이다. 끊임없이 윤핵관에 대한 비판 목소리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는 중도층에는 먹힐 수 있겠지만 앞서 언급한대로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해당행위로 비쳐질 수 있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지율이 변동사항이다. 최근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20%대로 떨어졌다. 만약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계속 유지되거나 하락할 경우 위기를 느낀 국민의힘이 이 전 대표를 찾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것은 이 전 대표의 지지율이 윤 대통령의 지지율보다 높게 나왔을 때의 일이다.

이런 이유로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 전 대표가 장기전에 들어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윤석열 정부는 5년이고, 이 전 대표의 정치적 행보는 앞으로도 몇십년은 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지층 결집은

지금부터 착실하게 지지층을 결집해 나간다면 5년 후에는 어떤 정치적 지형이 형성될지 아무도 예단할 수 없다.

또 다른 방법은 신당 창당이다. 하지만 당장 신당 창당의 가능성은 약하다. 앞서 언급한대로 윤리위가 이 전 대표의 정치적 행보의 발목을 묶어 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탈당을 해서 신당 창당을 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결국 이 전 대표는 원외인사로서 대국민 접촉면을 늘리는 방안을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 지지율을 윤 대통령보다 높게 유지한다면 총선을 앞두고 다급한 국민의힘은 이 전 대표에게 손을 내밀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이 전 대표로서는 정치적 재개를 이런 식으로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시나리오이다. 그러자면 윤석열 정부가 공보다도 과가 많이 비쳐져야 하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예를 들고 있다. 오 시장이 과거 무상급식 주민투표로 인해 정치적으로 재기 불능 상태가 됐지만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재기를 했다는 점을 반면교사로 삼아 이 전 대표도 향후 정치적 행보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