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5성급 호텔 정원에 묶여 비 맞고 있는 강아지. 작성자는 성견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사진 출처=온라인 커뮤니티 ‘네이트판’ 갈무리]
서울 5성급 호텔 정원에 묶여 비 맞고 있는 강아지. 작성자는 성견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사진 출처=온라인 커뮤니티 ‘네이트판’ 갈무리]

【투데이신문 정인지 기자】 서울 강북구 북한산 국립공원에 있는 5성급 호텔 ‘파라스파라 서울(파라스파라)’의 외부 정원에서 목줄 묶인 개를 봤다는 목격담이 올라왔다. 논란이 되자 호텔 측은 ‘야생동물 감시견’이라는 해명을 내놨다. 

지난 6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5성급 호텔에서 키우는 강아지 관리가 이게 맞나요?’라는 제목으로 글이 올라왔다.

투숙객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작성자 A씨는 “(호텔 주변을) 산책하던 중 강아지를 발견했다”며 “처음에는 ‘호텔에서 키우는 아이구나’ 했는데 보면 볼수록 이상했다”고 서두를 열었다. 이어 “비도 오고 몸은 다 젖어서 오들오들 떠는 아이(강아지)를 보고 집 안에 담요가 있나 하고 봤더니 밥그릇은 없고 집안에 사료가 잔뜩 쌓여있었다”고 했다.

A씨는 또 “누가 집 안에 사료를 쌓아두냐”면서 “덕분에 아이는 집 안에 들어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A씨가 올린 사진을 보면 개집 안에는 사료가 쌓여 있어 진입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흙탕물인 식수 상태는 해당 시점에 강우가 있었음을 고려해도 관리되고 있다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개집 입구의 사료와 물통 속 흙탕물이 보인다. [사진 출처=온라인 커뮤니티 ‘네이트판’ 갈무리]
개집 입구의 사료와 물통 속 흙탕물이 보인다. [사진 출처=온라인 커뮤니티 ‘네이트판’ 갈무리]

A씨는 호텔 프런트 직원에게 개에 대해 문의했고 “멧돼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호텔에서 키우는 개”라는 답변을 들었다고 한다. 그는 “30분 동안 지켜봤는데 중간중간 체크하는 직원도 없었다”며 “(강아지는) 풀 죽어 꼬리가 내려가 있었다”고 전했다.

파라스파라 서울은 게시글이 올라온 지 하루 뒤인 지난 7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입장문을 냈다. 호텔 측은 “야생동물 감시견과 관련해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올린다”고 했다.

이어 “국립공원 내 위치한 특성상 야생동물의 출현을 감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여왔다”며 “민가에서 키우는 감시견의 위치를 리조트와 가까운 곳으로 이동해 견주와 함께 관리해 왔으나 환경이 충분치 않았던 부분에 대해 송구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호텔 측의 이러한 답변은 누리꾼의 공분을 더 샀다. 상식적으로 묶여 있는 강아지가 침입하는 멧돼지를 어떻게 막냐는 것이다.

누리꾼들은 “호텔에서 기르는 강아지라더니 말이 바뀐다”, “야생동물 감시견보다는 유인견 아니냐 사료 부어놓으면 오히려 더 꼬일 듯하다”, “멧돼지 지킴이로 강아지를 쓴다는데 강아지가 멧돼지를 이긴다는 게 말이 되냐”, “멧돼지 쫓아낼 거면 직접 돌아가면서 교대해라” 등의 반응을 보였다. 

파라스파라 서울이 인스타그램을 통해 홍보한 ‘펫 객실’ 게시물. 현재 해당 글은 삭제된 상태다. [사진 출처=파라스파라 서울 공식 인스타그램]
파라스파라 서울이 인스타그램을 통해 홍보한 ‘펫 객실’ 게시물. 현재 해당 글은 삭제된 상태다. [사진 출처=파라스파라 서울 공식 인스타그램]

해당 호텔이 반려동물과 함께 머무를 수 있는 ‘펫 객실’을 운영·홍보했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야생동물 감시견’을 둔 것 자체가 적절치 않았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파라스파라 관계자는 <투데이신문>과의 통화에서 “(감시견 도입) 배경에 멧돼지가 계속 나타나 직원과 고객을 위협해 우려가 지속되는 상황이 있었다”며 “강북구청과 협력해 포획틀 6개 정도를 가져다 놨지만 그래도 잘 잡히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장금이(해당 강아지)는 바로 10m 안쪽의 민가에서 키우는 강아지”라면서 짧은 목줄로 이동이 제한된 것이 아니냐는 비판에 대해서는 “사진 상에서는 줄 밖에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는 와이어로 30m 정도를 추가해 좌우로 35m 정도의 여유가 있다”고 해명했다. 

관계자는 또 “해당 구역에는 이미 울타리나 CCTV가 있고 멧돼지가 나타났을 때 강아지가 짖는 것 외에 (위협이나 사냥 등) 더 바라는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동물권행동 카라 정책기획팀 최인수 활동가는 본보에게 “기존의 울타리를 정비·강화해 (멧돼지가) 어쩔 수 없이 오는 경우를 막는다기보다 사람이 먼저 포획틀과 감시견을 이용해 적극적으로 멧돼지를 잡겠다는 제스처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이어 최 활동가는 “국립공원에서조차 살 수 없다면 멧돼지는 어디서 살겠나”라며 “국립공원에 지은 이상 벌어질 수밖에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