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박용규 환경보건국장이 2022년도 환경보건·화학안전 분야 중점 추진과제를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환경부 박용규 환경보건국장이 2022년도 환경보건·화학안전 분야 중점 추진과제를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앞으로 환경오염의 피해 가능성이 큰 지역 주민들은 인과관계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더라도 의료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환경부는 14일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환경, 탄소중립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올해 환경보건·화학안전 분야 업무계획 중점 추진과제를 공표했다.

추진계획에 따르면 환경부는 환경오염 피해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사는 주민은 배출시설과 건강피해 간의 인과관계가 명확하게 나오지 않더라도 건강검진과 치료를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오염물질 배출시설과 거주 지역이 혼재된 난개발 지역 26곳과 석탄화력발전소 5곳의 주변지역에 대한 유해물질 노출상태 및 주민 건강실태를 조사한다.

더 나아가 환경오염에 따른 2차 피해를 예방하고 주민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환경부는 오염 정화, 친환경적인 지역 복원, 공동체 회복사업 등을 추진할 것이라 설명했다.

건강 민감계층과 사회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환경보건 안전망 서비스도 확대한다. 오는 4월부터 어린이집‧유치원 등에는 이전보다 강화된 납과 프탈레이트 기준을 적용한다. 차상위계층 등 사회 취약가정 1500곳을 대상으로 실내환경 유해인자 진단을 실시하고 그중 400곳에 벽지‧장판 교체, 공기청정기 설치 등을 지원한다.

또한 생활화학제품 내 모든 성분을 알 수 있도록 전성분 공개 제품수를 확대한다. 세정제, 방향제 등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전품목(39종)에 대해 제품 겉면에 함유물질, 사용상 주의사항 등 자세한 정보를 담은 QR코드를 표시한다.

이외에도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은 차량 내부의 실내공기질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광화학 카메라 등을 통해 노후산단을 살피며, 화학사고 의심 상황에는 드론 등을 사용해 신속하게 대응할 예정이다.

환경부 박용규 환경보건국장은 “국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양극화 해소를 위해 어느 때보다 따뜻하고 포용적인 환경보건 서비스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환경 유해인자로부터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취약지역과 계층을 배려하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