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대전서 공청회…구역별 차별화된 목표 추진
하천관리도 환경부 이관되며 통합물관리 본격화

환경부는 지난달 24일 강원도 춘천시 소양강댐 물문화관에서 통합물관리 비전선포식을 열었다. ⓒ환경부
환경부는 지난달 24일 강원도 춘천시 소양강댐 물문화관에서 통합물관리 비전선포식을 열었다. ⓒ환경부

【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금강유역 물관리 최상위 계획인 ‘금강유역 물관리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의견수렴이 시작된다. 올해부터 하천관리도 환경부로 일원화되면서 통합적인 물관리의 면모가 드러날 전망이다.

금강유역물관리위원회(공동위원장 환경부 한정애 장관충남연구원 이상진 수석연구위원)는 오는 8일 대전시 한국수자원공사 세종관에서 금강유역 물관리 종합계획 공청회를 진행한다. 위원회는 공청회를 통해 금강유역 물관리 종합계획에 대한 관계기관, 지역주민, 전문가 등에게서 다양한 의견을 모을 계획이다.

금강유역 물관리 종합계획은 금강유역 물관리 전 분야를 포괄하는 최상위 계획으로 올해 하반기 중에 수립될 예정이다. 2030년까지 금강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물관리 목표와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구체적인 실행계획들의 기준점 역할을 하게 된다.

위원회가 마련한 계획안을 보면 ▲안정적 물 확보 ▲가뭄과 홍수에 안전한 사회구축 ▲유역과 하천의 자연성 강화 ▲자연과 사람의 공존성 확보 ▲유역공동체 실현과 물문화 활성화 ▲물산업 진흥으로 물복지 구현 등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또, 금강본류유역, 만경-동진강유역, 삽교천유역, 금강서해유역으로 구역을 나눠 차별화된 목표를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상진 공동위원장은 “이번 계획은 앞으로 10년간 금강 유역의 물관리 정책방향을 제시할 중요한 계획”이라며 “자연성을 회복한 금강의 혜택이 미래세대에도 이어지게 만드는 종합계획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기존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로 이원화됐던 물관리 업무는 지난 2018년 물관리기본법이 제정되면서 환경부로 일원화가 진행됐다. 올해부터는 하천관리 업무도 환경부로 일원화되며 통합물관리가 본격화됐다.

물관리기본법에 따라 출범한 국가물관리위원회는 지난해 6월 제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을 의결했으며 현재는 금강을 포함해 한강, 낙동강, 영산강, 섬진강 등 유역별 위원회에서 해당 유역의 물관리계획을 논의하고 있다.

환경부는 통합물관리 체계의 완성을 맞아 지난달 24일 강원도 춘천시에서 통합물관리 비전선포식을 열고 ‘새로운 물 가치 창출’을 목표로 천명했다. 환경부는 이날 비전선포식에서 물관리에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물 재해의 사전 예측 및 맞춤 대응 시스템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또, 하천의 자연성을 회복하면서 물 자원을 활용한 재생에너지 생산 등 탄소중립 실현에 나서겠다는 구상도 제시했다. 오는 2030년까지 20개 품목을 집중 육성해 미국과 유럽 등 선전국의 물 시장 진출도 도모한다.

한정애 장관은 이날 비전선포식에 참석해 “환경부는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한 물 관리를 실현하고 물이 가진 다양한 잠재력을 극대화하겠다”라며 “모두가 누리고 미래 세대를 준비하는 새로운 물 가치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비전선포식에서 소개된 강원도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사업, 생태하천 복원사업 등 우수한 정책 사례들이 모든 유역으로 확산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