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최고회의·전야제 등 참석
尹, “오월 정신은 헌법 정신”
전문수록·진상규명 언급은 無
이재명, “헌법 수록은 공약”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2주기 기념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2주기 기념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5·18민주화운동의 숭고한 가치를 계승하는 제 43주년 5·18 기념식이 18일 오전 10시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엄수됐다.

‘오월 정신, 국민과 함께’ 주제로 열린 국가보훈처 주관 기념식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5·18민주유공자, 유족 및 정·관계 주요 인사 등 30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기념식장엔 윤 대통령을 비롯해 정치권이 총 집결했다. 총선 1년을 앞두고 여당은 ‘중도층’을 잡기 위해, 야당은 ‘지지층 결집’이라는 각각의 ‘셈법’으로 민심 사로잡기에 나선 셈이다.

김기현 대표·윤재옥 원내대표를 비롯한 국민의힘 지도부는 5·18 기념식 직전인 이날 오전 광주 김대중 컨벤션센터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가진 뒤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리는 기념식에 참석했다.

이재명 대표와 박광온 원내대표 등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전날부터 1박2일 일정으로 텃밭인 광주에 내려와 5·18전야제에 참석, 지지층 결집에 나섰다. 이날 기념식엔 소속 의원 100명 이상이 참석했다.

정의당과 진보당 역시 전날 전야제를 방문한데 이어 이날 기념식장을 찾았다.

취임 2년 차인 윤 대통령은 2년 연속 참석한 기념사에서 “우리는 43년 전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피로써 지켜낸 오월의 항거를 기억하고, 민주 영령들을 기리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며 “이 땅의 민주주의는 수많은 분들의 희생과 헌신으로 지켜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월 정신은 자유 민주주의 헌법 정신 그 자체이고, 우리가 반드시 계승해야 할 소중한 자산이다. 우리는 오월 정신으로 민주주의를 지키고 실천하며 창의·혁신의 정신으로 산업 고도화와 경제 번영을 이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5·18 정신 헌법 전문(前文) 수록과 5·18 진상 규명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김기현(왼쪽부터) 국민의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이정미 정의당 대표 등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애국가를 부르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김기현(왼쪽부터) 국민의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이정미 정의당 대표 등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애국가를 부르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총선에서 ‘헌법 전문 수록’ 원포인트 개헌” 촉구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5월 정신을 계승해 나가야 할 책임이 있다”며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우리 당의 진심이 훼손되거나 퇴색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5·18 정신 헌법 수록 원포인트 개헌을 촉구했다.

이 대표는 “5월 정신의 계승과 자유민주주의를 말하지만 약속했던 원포인트 개헌이나 국가폭력에 의한 국민의 삶과 생명을 해치는 일에 대해 반성하고 재발방지대책을 하지 않는 한 그건 모두 공염불”이라며 “다시한번 약속한 대로 5·18 정신 헌법 전문수록을 위한 원포인트 개헌을 내년 4월 총선에 함께 국민 투표에 붙일 것을 요구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날 기념식은 5·18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윤 대통령도 오른 손을 흔들며 제창했다. 참석자들은 기념식 직후 5·18 희생자 묘역을 참배하며 앞서간 이들의 숭고한 넋을 기렸다.

한편, 5·18민주화운동이 법정 기념일로 지정된 1997년 이후 역대 대통령 5명은 한 번 이상 기념식에 참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보훈처 등에 따르면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은 집권 3년 차인 2000년 현직 대통령으로 처음 5·18항쟁 20주년 기념식에 참석했다. 김 전 대통령 재임 기간 중 나머지 기간은 국무총리가 대신 참석했다.

이어 취임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재임 5년 동안 매년 5·18 기념식을 찾아 오월 영령의 넋을 기렸다.

또 이명박 전 대통령은 취임 첫 해인 2008년에 참석했다. 그러나 이후 임기를 마친 2012년까지 내리 4년 간 조화만 보내고 기념식에는 불참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역시 취임 첫 해인 2013년에만 참석했다. 기념식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 연속 불참했다.

탄핵 정국을 거쳐 2017년 5월 10일 취임한 문재인 전 대통령은 취임 8일 만인 37주년 5·18 기념식에 참석했다.

이듬해인 2018년에는 7대 지방선거 직전 정치적 오해를 부를 수 있다는 우려와 한미정상회담 준비를 이유로 불참했다. 이후 2019년부터 2020년까지 2년 연속 기념식에 참석했다.

문 전 대통령은 재임 마지막 해인 2021년에는 방미 일정 준비 탓에 불참했다. 대통령을 대신해 총리가 참석했지만 감염병 확산 우려로 기념식 참석 인원은 99명으로 사상 최소 수준으로 줄었다.

지난해 취임 8일 만에 5·18을 맞은 윤 대통령은 42주년 기념식에 참석했다. 특히 보수 정부 처음으로 5·18 유족과 광주 북구 5·18국립민주묘지 정문(민주의 문)으로 입장해 눈길을 끌었다.

당시 윤 대통령은 함께 입장하는 유족과 대화하다 “매년 오겠다”며 임기 5년간 기념식에 참석하겠다고 약속했한바 있다. 임기 2년차인 올해도 기념식에 참석, 약속을 지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