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권위원회 전경
국가인권위원회 전경. ⓒ뉴시스

【투데이신문 박세진 기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이후 혐오와 차별이 증가했으며 향후 사회갈등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국민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온라인상 혐오 표현의 대상 1순위는 여성으로 확인됐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5월 20일부터 25일까지 전국 만 15세 이상 1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혐오 표현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국민 10명 중 8명은 온라인 혐오 표현이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온라인 혐오 표현을 접한 장소는 인터넷 뉴스 기사 및 댓글이 71%로 가장 많았고 이어 유튜브 등 개인 방송 53.5%, 커뮤니티 게시판 47.3%, SNS 35.9% 순으로 나타났다.

온라인에서 접한 혐오 표현의 대상은 여성이 80.4%로 가장 많았고 특정 지역 출신 76.9%, 페미니스트 76.8%, 노인 72.5%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2019년 혐오차별 국민인식 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부정적 전망 수치가 전반적으로 증가한 양상이다. 코로나19 영향으로 혐오와 차별이 증가하고, 향후 사회갈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응답자 중 59.5%가 코로나19 이후 우리 사회에 혐오와 차별이 증가했다고 느끼는 가운데, 90.2%는 향후 혐오와 차별로 인해 사회적 갈등이 더 심해질 것이라고 답했다.

이 밖에도 ‘범죄로 이어질 수 있다’ 87.7%, ‘소수자의 표현의 자유가 위축될 것이다’ 79.5%, ’차별 현상이 굳어진다’ 79.2% 등의 의견도 있었다. 

온라인 혐오 표현을 접했을 때 대처는 대부분 소극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온라인에서 혐오 표현을 접한 뒤 문제가 있는 표현이라고 생각했다는 응답자는 73.5%를 차지했다.

문제가 있음을 인지함에도 불구하고 혐오 표현에 대해 대응하지 않았다고 답한 응답자는 40.2%, 피하게 됐다고 답한 응답자는 33.6%를 기록했다.

대응하지 않은 이유는 ’신고해도 조치가 이뤄지지 않을 것 같아서’ 43.5%, ‘대처 방법을 잘 몰라서’ 20% 등으로 파악됐다.

혐오 표현에 반대표시나 신고를 하는 등 적극적으로 행동했다는 응답 비율은 각각 17.5%와 4.8%를 기록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집계됐다.

혐오 표현의 원인으로 ’우리 사회의 구조적 차별’이 86.1%로 가장 선택됐다. 이어 ’일자리 등 경제적 어려움을 약자에게 표출’ 82.4%, ’언론의 보도 태도’ 79.2%를 기록했다.

특히 ’정치인 등 유명인이 혐오 표현을 써서 문제라고 느끼지 않게 됐다’는 답변이 76.3%로 나타났는데, 이는 정치인과 유명인이 쓰는 혐오 표현이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를 증명하듯 우리 사회 혐오와 차별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응답자 90.3%가 정치인·언론이 혐오를 부추길 수 있는 표현이나 보도 자제를 해결 방안으로 꼽았다.

이어 학교 내 혐오차별 예방 교육 확대, 혐오차별 인식개선 교육·캠페인 강화, 악의적 혐오 표현 사법 조치, 정부 차원의 종합적 대책 수립, 평등권 보장 법률 제정 등에도 응답자 대부분이 동의한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