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강현민 기자】셀트리온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역대 분기 가운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셀트리온은 7일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723억원, 영업이익 2676억원, 영업이익률 39.8%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견줘 매출은 4.1% 늘었으며, 영업이익은 25.2% 뛰었다. 영업이익률은 전년동기 대비 6.7%p 올랐다.
이번 실적에 대해 셀트리온은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주력 바이오의약품 점유율 확대와 신규 품목의 시장 판매가 본격화됨에 따라, 품목별 고른 매출이 실적 성장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또한 “램시마 등 주요 바이오시밀러 품목이 견조한 점유율을 유지하는 가운데 램시마SC, 유플라이마 등 차세대 품목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성장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스라엘 테바의 의약품 위탁생산(CMO) 매출도 실적 상승에 기여했다.
램시마를 비롯해 트룩시마, 허쥬마 등 셀트리온 주력 바이오시밀러 제품이 세계 주요 시장에서 성장세를 보이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유럽 주요 5개국(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에서 램시마와 램시마SC의 합산 점유율은 69.8%로 나타났다. 램시마SC의 단독 점유율은 18.8%를 돌파했다.
램시마SC는 독일과 프랑스에서 각각 36%, 25%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 밖에도 유럽에서 트룩시마는 22.3%, 허쥬마는 21.7% 점유율을 기록했다. 미국에서는 올해 3분기 기준 램시마(미국 제품명 인플렉트라)가 29.9%를 기록하며 바이오시밀러 중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트룩시마도 29.9% 점유율을 달성했다.
향후 매출 성장을 견인할 주력 제품의 상업화도 순항 중이다. 최근 셀트리온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짐펜트라(램시마SC의 미국 제품명)를 허가받았다. 유일한 피하주사(SC) 제형의 인플릭시맙 치료제로 차별성을 인정받아 신약으로 승인, 출원된 특허가 확보될 경우 오는 2040년까지 경쟁 없는 신약으로 판매 가능할 전망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유플라이마, 램시마SC 등 차세대 품목을 포함한 주요 제품들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와 시장 진출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며 미래 성장동력을 빠르게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 [OLDs⑧] 코로나19 백신 피해자는 아직 터널 안에 있다
좌우명 : 진실에 가까이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