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
[자료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

【투데이신문 강현민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임직원을 대상으로 ‘2024 ESG 캠페인’을 시작했다고 22일 밝혔다.

올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일상 생활 속에서 실천 가능한 네 가지 활동으로 △조명 소등 △종이 절약 △계단 이용 △텀블러 사용을 제시했다. 먼저, 전력 소모량 절감 차원에서 점심시간 30분 동안 사무실 조명 소등을 진행 중이다. 

특히 지난 3월 2공장에 도입한 자동 소등 시스템을 시작으로 향후 전 공장으로 해당 시스템을 적용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회사는 “연간 35.4메가와트시(MWh) 상당의 전력을 아낄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연간 약 250만대 휴대폰을 완충할 수 있는 전력량과 맞먹는다”고 설명했다.

회의 시 불필요한 출력물 인쇄를 줄이고, PC 화면으로 자료를 공유하는 ‘종이절약’ 활동을 비롯해 에너지 절약을 위한‘계단 이용’활동도 권장하고 있다. 또한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이기 위해 텀블러 사용을 독려하며, 텀블러를 사용하는 임직원에는 사내 카페에서 음료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올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연간 온실가스 직접 배출량의 20% 감축을 목표로 잡고 있다. 지난해 감축 목표 8.9%에 이어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직접 배출량을 32%까지 감축하겠다는 방침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ESG 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글로벌 이니셔티브 참여 확대, 공급망 관리 등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지난 2022년 ‘2050 넷제로’ 달성 목표를 선언했으며, 지속가능한 시장 이니셔티브(SMI)에서 공급망 분야 의장을 맡는 등 글로벌 지속가능경영을 선도하고 있다.

지난해 7월에는 GSK·아스트라제네카·머크 등 6개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으로 기후변화 대응 관련 공개서한(Open letter)을 발표하고 공급사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 동참할 것을 요청한 바 있다. 11월에는 머크·싸이티바·써모 피셔 등 26곳의 주요 공급사를 대상으로 ‘공급망 ESG 데이’를 개최해 ESG 경영에 관한 공급사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ESG 경영을 독려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ESG 경쟁력은 국내외 지속가능경영 평가 기관으로부터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올해 2월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로부터 기후변화 대응 부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해 아스트라제네카 및 GSK 등 주요 빅파마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