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집단 행동 장기화에 102개 환자 단체 모여
연합회, “의사 필요한 환자 위해 서로 조금씩 양보해야”
휴진 철회·전공의 수련환경 개선·관련 법률 입법 촉구

환자단체가 4일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방지법 제정 환자촉구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환자단체가 4일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방지법 제정 환자촉구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 의료계 집단 행동이 장기화되자 국내 102개의 환자단체가 모여 의료공백 정상화와 재발방지법 제정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이하 연합회)는 4일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방지법 제정 환자촉구대회’를 개최했다. 현장에는 400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참여했고, 환자단체로서 역대 최대 규모의 집회였다.

연합회는 먼저 의정갈등 사이 불안과 무기력에 빠졌던 입장을 호소했다. 이들은 “정부와 전공의·의대교수의 갈등이 136일째를 맞은 오늘, 계속되는 피해와 불안을 더는 참을 수 없어 환자와 환자 가족들이 직접 거리에 나섰다”면서 “이 날씨에, 기어코 우리를 이 자리에 서게 만든 정부와 전공의·의대교수는, 이 순간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다.

더불어 “그동안 우리는 정부와 전공의·의대교수 모두 잘못하고 있다고 말해왔다. 지금 당장 병원에 가야 하는, 의사가 필요한 환자들을 위해 서로 조금씩 양보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고 했다.

4일 진행된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방지법 제정 환자촉구대회’ 참가자들이 손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4일 진행된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방지법 제정 환자촉구대회’ 참가자들이 손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이어 “그러나 정부는 의대정원 증원 찬성 여론을 앞세워 환자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전공의들을 몰아붙였다”며 “의사들은 의사 집단을 비판하는 환자들을 향해 ‘정부 탓을 해야지 왜 의사 탓을 하냐?’며 날을 세웠고, 언론은 아무 때고 전화해 ‘환자 피해 사례를 연결해 달라’고 집요하게 요청했다”면서 의정갈등과 언론을 함께 규탄했다.

또한 “우리는 암과 중증질환, 희귀난치성질환, 만성질환으로 아파본 당사자이자, 사랑하는 사람이 아플 때 곁을 지킨 환자 가족으로서, 누구도 이런 일로 고통받아서는 안 된다고 말하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고 토로했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다음 세 가지 촉구안에 대한 수용과 이행 없이는, 대한민국의 미래도 없다”면서 의료계와 정부, 국회에게 각각 △명분 없는 무기한 휴진을 철회할 것 △전공의 수련환경을 개선할 것 △필수의료가 중단되지 않도록 관련 법률을 입법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지난달 27일부터 휴진을 지속하는 가운데, 이날부터 서울아산병원 교수들도 ‘진료 재조정’이라는 명목하 진료를 축소하는 집단행동에 돌입했다. 현재 고려의대 소속 병원과 충북대병원도 무기한 휴진을 예고한 상태다. 서울대병원은 현재 무기한 휴진을 중단한 상태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