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선투표 가서 친윤 결집해 축출 시나리오 결국 무산

국민의힘 한동훈 신임 대표 [사진출처=뉴시스]
국민의힘 한동훈 신임 대표 [사진출처=뉴시스]

【투데이신문 한정욱 기자】  23일 국민의힘 신임 대표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선출돼 여당 내부 분열 봉합에 관심이 모아진다.

그는 검사 출신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됐으나 올 4월 총선 과정에서 소원해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번에 새 당대표에 뽑히면서, 지난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비대위원장 자리에서 물러난 지 103일 만에 화려하게 부활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 신임 대표는 수락 연설에서  “건강하고 생산적인 당정 관계와 합리적 토론을 통해 국민 눈높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반응해 민심의 파도에 올라타자”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치러진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60% 이상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전당대회는 당원투표(8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20%)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치러졌다. 총 32만 702표 중에서 득표율 62.84%를 기록한 것. 그 뒤를 이어 원희룡 후보는 9만 6177표(18.84%), 나경원 후보는 7만 4419표(14.58%) 등을 기록했다. 

절반을 훌쩍 만큼  결선투표 없이 당 대표 당선을 확정할 수 있었다. 

이는 한 후보에게 적잖은 정치력을 실어주는 이슈다. 당원과 국민들이 용산과의 불화설에도 불구하고 결국 그를 선택했다는 의미이기 때문. 또 당권 경쟁 과정에서 불거진 당내 분열에도 결국 그를 지지하던 세력이 분산되지 않고 오히려 결집됐다고도 볼 수 있다.

과반을 차지하지 못할 경우 한 신임 대표를 반대하는 세력이 결선투표에서 결집, 그를 결국 낙마시킬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유력하게 거론됐지만 결국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

한편 한 신임 대표와 함께 지도부를 구성할 최고위원으로 장동혁·김재원·인요한·김민전 후보가 선출됐다. 

한 신임 대표는 이제 보수 정당의 영향력을 높이는 한편 집권 후반기 용산과의 관계를 매끄럽게 정리해야 한다는 숙제를 짊어지게 됐다. 디올백 논란 등 김건희 여사 문제에 대한 이견을 드러내면서 윤 대통령과 불편해졌다는 논란은 빠른 시간 내 해소할 필요가 있다는 것. 다만 정치적으로 그가 용산과 일정하게 거리를 두면서 체급 키우기를 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풀이 또한 일각에선 대두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