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로 임금 근로자의 정년을 60세 이후로 연장하는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65세 정년연장 시 기업에 30조원을 웃도는 경제적 부담이 가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2일 부산대학교 김현석 교수에게 의뢰한 ‘정년연장에 따른 비용 추정 및 시사점’ 연구용역 보고서를 통해 65세 정년연장 체계 도입 시 그 비용이 연간 30조20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보고서는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부가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65세 정년연장으로 늘어나는 60~64세 정규직 근로자 수에서 정년연장이 도입되지 않더라도 정규직으로 근무하는 60~64세 근로자 수를 차감해 정년연장 적용 규모를 추정했다.
추정 결과, 65세 정년연장 도입 1년 차에는 60세 정규직 근로자의 고용이 연장되며 예상되는 규모는 5만8000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도입 5년 차에는 60~64세 모든 연령대의 정규직 근로자가 정년연장의 적용대상이 되며, 예상 규모는 59만 명에 달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근로자 고용을 64세까지 유지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추정했다. 그 결과 65세 정년연장 도입 1년 차에는 60세 정규직 근로자 고용에 따른 비용이 3조1000억원, 도입 5년 차에는 30조2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현석 교수는 “저출산·고령화 등 경제환경 변화로 고령자 고용 확대의 필요성은 인정하나, 일률적인 정년연장은 기업경영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협은 “업종별, 기업별 사정에 따라 고령 근로자의 지속적인 고용 필요성이 다르므로 정년과 관련한 사항은 기업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당부했다. 실제로 고용노동부 ‘2023년 고령자고용현황’을 보면 업종 간 55세 이상 고령자 비중 격차가 최대 62.5%p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정년연장에 따른 60~64세 고용 비용은 25~29세 청년의 월평균 임금인 279만원을 기준으로 약 90만2000명의 청년층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정년연장이 투자 및 신규채용 위축 등에 미치는 영향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협 이상호 경제산업본부장은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경직적이고, 호봉급 중심의 임금체계가 생산성을 반영하지 못해 기업들이 고령인력을 활용하는 데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면서 “정년연장을 도입하기에 앞서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고 직무가치·생산성 등을 반영한 임금체계로의 개편 등을 통해 기업들이 고령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식물해방일지, 벼랑 끝 경찰들, 벼랑 끝 소방관
좌우명: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해 쓰겠습니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