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금융감독원]
[사진=금융감독원]

【투데이신문 문영서 기자】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4조3000억원 증가하며 전월 감소세(-9000억원)에서 증가세로 전환됐다.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은 12일 발표한 ‘2025년 2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서 이같이 밝혔다.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해 8월 9조7000억원 증가세를 기록한 후 9월 5조4000억원, 10월 6조5000억원, 11월 5조원, 12월 2조원으로 증가폭을 줄여오다 올해 1월에는 9000억원 감소세를 보였다.

하지만 이달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5조원 늘며 다시 증가했다.

은행권은 전월 대비 증가폭이 확대(1조7000억원→3조5000억원)됐고 제2금융권은 전월과 유사한 증가폭(1조5000억원)을 유지했다.

기타대출은 6000억원 감소해 전월(-4조1000억원) 대비 감소폭이 줄었으며 이는 신용대출이 증가세로 전환(-1조5000억원→1000억원)된 점 등에 기인한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이 3조3000억원 증가해 전월 감소세(-5000억원)에서 증가 전환했다. 정책성대출은 전월(2조2000억원)보다 증가폭이 늘어 2조9000억원 증가했다.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폭은 6000억원으로, 전월(-6000억원)과 비교해 증가세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전월 대비 감소폭이 축소(-2조1000억원→2000억원)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1조원 증가해 전월(-5000억원) 감소세에서 증가 전환했다. 상호금융권(-1000억원→8000억원)과 여전사(-1000억원→3000억원)은 늘은 반면 저축은행(2000억원→-200억원)은 감소했으며 보험(-5000억원→-1000억원)은 전월 대비 감소폭이 줄었다. 

금융당국은 “2월 가계대출은 금융권이 연초 새로운 경영목표 하에서 가계대출 취급을 본격적으로 재개하고 신학기 이사수요 등이 겹치며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주택도시기금 재원의 디딤돌·버팀목 상환이 확대되고 신학기 수요 해소 등으로 3월 들어 주택담보대출 실행이 감소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충분히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다만 “부동산 규제가 완화된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 주택가격 상승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가계부채 관리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관계부처간 긴밀한 공조 아래 지역별 주택시장 상황과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주택시장 상승폭 확대 우려로 인해 과도한 불안심리가 확산되거나 투기·시장교란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