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게티이미지뱅크]
[사진제공=게티이미지뱅크]

【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과거와 다르게 결혼하지 않고 자녀를 낳거나 동거하는 ‘비혼 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2030 남녀 비율이 늘고 있다.

19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의뢰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30 세대의 비혼 출산 및 비혼 동거에 대한 동의율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연구를 살펴보면 20대 남성의 비혼 출산 동의율은 2008년 32.4%에서 2023년 43.1%로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20대 여성의 동의율은 28.4%에서 42.4%로 14.0%포인트(p) 증가해 남성(10.7%p)보다 상승 폭이 더 컸다.

30대 역시 마찬가지였다. 30대 남성의 비혼 출산 동의율은 2008년 28.7%에서 2023년 43.3%(14.6%p↑)로 상승했고, 30대 여성은 23.9%에서 40.7%로 16.8%p 증가했다. 

이어 연구는 2030세대 남녀의 혼인 전 동거 동의율도 크게 올랐다는 조사결과도 내놨다. 20대 남성은 2008년 67.2%만 비혼 동거에 찬성했다가 지난해에는 81.1%가 가능하다고 답했다. 20대 여성 동의율 역시 55.6%에서 81%로 대폭 상승했는데, 이때 여성이 남성(13.9%p↑)보다 더 큰 인식 변화의 폭(25.4%p↑)을 보였다.

30대도 여성이 비혼 동거 동의율 상승에 앞장섰다. 여성은 기존 50.1%에서 78.3%로 28.2%p가 증가한 반면 30대 남성의 비혼 동거율은 58%에서 82.2%의 상승에 그쳤다.

이 같이 결혼하지 않고 동거하는 ‘비혼 동거’나 결혼하지 않고 자녀를 낳는 ‘비혼 출산’을 청년 세대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데에는 결혼에 대한 반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 이기일 제1차관은 “시댁, 결혼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성들의 동의율이 올라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젊은 세대의 인식이 바뀌는 것과 별개로 국내 비혼 출산율은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 2022년 기준 국내 비혼 출산율은 3.9%에 불과하다. 같은 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41%)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0.72명)은 OECD 국가 중 최하위다. 우리나라의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혼 여성도 아이를 낳아 잘 기를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을 조성하고 이들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돼 왔다.

지난 8일 복지부 이 제1차관은 YTN 라디오에 출연해 “우리나라도 비혼 출산이 많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아이를 낳고 키우는 분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을 많이 만들겠다”고 말한 바 있다.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에 접어들면서 정부는 비혼 출산을 저출생 해결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바라보고 있지만 현재로서 비혼 출산에 대한 지원제도는 미혼 남녀 가임력 검사비 지원 등 미비한 수준이다.

한반도미래연구원은 지난달 3일 개최된 ‘비혼 출산의 사회적 수용성과 제도적 과제’ 세미나에서 “비혼 출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매년 개선되고 있지만 지원제도는 여전히 미비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