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훈식 비서실장이 6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조직개편안 및 1차 인선 발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br>
강훈식 비서실장이 6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조직개편안 및 1차 인선 발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김민수 기자】대통령실이 6일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기조 실현을 위한 조직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이재명 정부가 국민주권 정부를 표방하는 만큼 책임있고, 미래지향적이며 유능한 조직으로 개편해 국민을 위해 일하는 조직으로 만드는 데 중점을 뒀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먼저, 지난 정부 대통령실의 국정 운영 총괄 기능이 미흡했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국정상황실을 확대 개편해 확실한 국정 운영 컨트롤타워로 자리매김하도록 했다.

또한 국가의 제1 사명인 국민 안전을 책임지겠다는 각오로 국가위기관리센터를 기존의 국가안보실 2차장 소속에서 국가안보실장 직속으로 이관한다.

업무 중복과 비효율로 인해 국정과제 추진에 어려움이 있었던 국정과제비서관실과 정책조정비서관실은 통합해 국가정책 관리 체계를 정비한다.

국정과제 실천을 위한 재정 전략을 담당하는 수석급 ‘재정기획보좌관’을 신설해 대통령의 국정철학이 현장에서 완결성 있게 실현되는 데 중점을 뒀다. 갈등 조정과 사회적 대화 촉진을 위해 시민사회수석을 경청통합수석으로 변경·확대해 시민사회 및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한다. 경청통합수석 산하에는 청년 담당관을 설치해 청년세대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게 했다.

인공지능(AI) 3대 강국 등 성장 전략 및 미래 과제를 담당할 AI 미래기획수석도 신설된다. 이재명 대통령이 선거 기간 강조했던 AI 산업 육성은 물론 첨단기술 발전, 인구 및 기후위기 과제 해결을 집중적으로 다룰 전망이다.

아울러 지난 정부에서 사라졌던 여성가족비서관을 성평등가족비서관으로 확대하고, 국정기록비서관을 복원한다.

이와 함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개척을 담당할 해양수산비서관을 신설하고, 검찰과 사법부가 국민의 인권을 보호하는 최후의 보루로 기능할 수 있게 할 사법제도비서관을 설치해 주요 현안을 담당할 방침이다. 대통령실의 청와대 복귀를 맡을 한시 기구로 관리비서관도 두게 했다.

이번 개편에 따라 기존 장관급 4명, 차관급 11명, 비서관 49명 규모의 대통령실은 장관급 4명, 차관급 11명, 비서관 50명으로 바뀌었다. 개편 방안은 향후 관련 규정 개정 등 절차를 거쳐 시행된다.

강훈식 비서실장은 “대통령실은 ‘책임’, ‘미래’, ‘유능’을 핵심 기조로, 빠르고 실용적으로 일하는 조직을 구축하고자 한다”며 “이에 걸맞은 조직개편으로 책임성을 강화해 국민께 신뢰받는 대통령실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