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지급여력비율 평균 회복…대형·중소형사 간극은↑
권고 기준 완화에도 취약사는 여전…자본 확충 압박 지속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투데이신문 김효인 기자】 올해 2분기 국내 보험업계의 지급여력비율(RBC비율)이 평균적으로 개선 흐름을 보였으나, 대형사와 중소형사 간 격차가 가파르게 벌어지고 있다. 금융당국이 권고 기준을 완화해 단기적 부담 완화에 나섰지만 일부 취약사는 여전히 규제선에도 미치지 못하며 구조적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는 우려가 나온다.

2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2분기 전체 보험사의 지급여력(RBC) 비율은 평균 206.8%로, 전 분기(197.9%)보다 8.9%포인트(p) 상승했다. 대형 생보사와 손보사를 중심으로 금리 환경 개선과 이익 증가가 반영된 데다, IFRS17 회계제도 도입 이후 불확실성이 완화된 점도 상승에 기여했다.

반면 일부 중소형사들은 여전히 평균을 밑돌거나 근접한 수준에 머물렀다. 당국이 권고 기준을 기존 150%에서 130%로 낮췄음에도 취약사의 회복세는 더디게 이어지고 있다.

대형사는 ‘독주’…중소형사 압박 심화

실제 평균 수치의 안정세와 달리 회사별 편차는 더 커졌다. 생보 대형사인 삼성생명(186.7%), 교보생명(199.2%), 한화생명(160.6%)은 모두 권고치(130%)를 크게 웃돌며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다. 손보사 역시 삼성화재(274.5%), DB손보(213.3%), 현대해상(170.0%), 메리츠화재(239.8%), KB손보(191.5%) 등 주요 대형사들이 170~270% 수준을 기록하며 시장 불안을 누그러뜨리는 역할을 했다.

반면 일부 중소형사는 여전히 부진하다. 롯데손보는 129.5%로 전 분기보다 9.5%p 개선됐지만 권고 기준치(130%)에 미치지 못했고, MG손보는 –23.0%로 오히려 4.8%p 하락해 건전성이 악화됐다. 캐롯손보 역시 67.1%로 전 분기 대비 1.5%p 떨어지며 취약한 흐름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는 단순히 개별 회사의 문제로만 볼 수 없다. 평균 수치가 안정적으로 나타나지만, 내부적으로는 ‘이중 구조’가 심화되면서 업계 전반의 건전성 리스크가 도미노처럼 확산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보험업 건전성이 겉으로는 안정적으로 보이지만, 체력이 부족한 회사들이 밀집해 있는 상황에서는 평균 수치가 실질적인 안전성을 담보하지 못한다”며 “위험이 특정 계층에 집중돼 있다면 이는 산업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는 불안 요인의 뇌관”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금융당국이 한시적으로 권고 기준을 완화했음에도 여전히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회사들이 존재하는 것은 구조적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았음을 방증한다.

격차 심화에 시장 재편 가능성 전망까지

이 같은 양극화는 보험사 간 자본력 차이에 기인한다. 자본 여력이 충분한 대형 보험사들은 투자 다변화와 충격 흡수 능력을 확보하고 있어 금리 및 자산 시장 변동에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대응한다. 

반면 중소형사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고위험 자산 의존도 등이 높아 경기 악화 시 직접적인 타격을 입는다. IFRS17 도입으로 부채 평가가 엄격해지며 자본 부담은 더욱 커졌고, 체질 약화가 장기화되는 모습이다.

금융당국은 RBC 권고 기준을 150%에서 130%로 낮추고, 자본성 증권 발행 지원과 긴급 유동성 장치 마련 등 다양한 방안을 시행해왔다. 그러나 이는 근본적 개혁보다는 단기적 처방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소비자 관점에서도 건전성 취약 회사는 신계약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보험금 지급 능력에 대한 의구심으로 신뢰 하락과 계약 부진이 맞물려 악순환이 나타날 수 있다는 평가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보험업계 건전성 양극화가 지속된다면 결국 산업 구조 재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 경제학과 교수는 “보험업은 신뢰가 근간을 이루는 산업이기에 지급여력 격차가 벌어지면 소비자의 선택권은 자연스럽게 대형사로 쏠린다”며 “이 과정에서 중소형사 입지는 점점 좁아지고, 결국 M&A나 퇴출로 이어지는 구조조정 압력이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보험사의 생존 여부가 자본 확충 능력과 리스크 관리 역량에 달려 있는 만큼,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일부 중소형사들이 공격적 영업 대신 기존 계약 유지에 치중하는 것은 사실상 방어적 생존 전략에 불과하다”며 “근본적인 자본 확충과 위험자산 관리 강화 없이는 위기가 되풀이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