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조 투자…증설하면 송도2공장 1.5배 생산능력
절반은 릴리 제품 위탁생산, 나머진 셀트리온 제품 생산
美 관세 리스크 탈피…서정진 “메이드 인 USA’가 답”
【투데이신문 강현민 기자】셀트리온은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 릴리와 약 4,600억원(3억3,000만달러) 규모의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인수는 미국 내 직접 생산거점을 확보해 관세 부담을 근본적으로 줄이고 현지 공급 기반을 강화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셀트리온은 공장 인수 대금(4600억원)에 초기 운영비까지 합쳐 약 7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향후 유휴 부지를 활용해 최소 7000억원 이상의 추가 투자를 진행해 총 1조4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할 방침이다.
인수 주체는 셀트리온 미국법인으로, 계약은 연말까지 마무리될 예정이다. 해당 공장은 약 4만5000평 부지에 생산시설과 물류창고, 운영동 등을 갖춘 대규모 캠퍼스로 약 1만1000평 규모의 유휴 부지를 확보해 향후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다.
이번 인수는 셀트리온이 제시한 미국 관세 대응 전략의 일환이다. 앞서 재고 물량 이전과 현지 위탁생산(CMO) 계약 확대를 추진한 데 이어 현지 생산기지를 확보함으로써 관세 리스크를 근본적으로 해소했다는 설명이다. 향후 증설이 완료되면 미국 내 공급 제품은 물론 후속 제품군까지 관세 부담에서 벗어날 전망이다.
공장은 이미 cGMP 기준의 원료의약품(DS) 생산시설로 운영 중이어서, 신규 공장 건설 대비 5년 이상 단축된 시점에 생산이 가능하다. 증설 완료 시 인천 송도 2공장(9만리터)의 약 1.5배 수준 생산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계약에 따라 기존 인력의 고용 승계를 비롯해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던 기존 릴리 제품을 셀트리온이 공급하는 위탁생산(CMO) 계약도 체결했다. 이에 따라 공장 생산능력의 절반은 릴리 제품을 생산해 단기간 내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나머지 절반은 셀트리온 제품이 생산될 예정으로, 구체적 품목은 올해 말 확정할 예정이다. 계약 규모는 비밀유지조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다.
셀트리온 제품 생산은 오는 2027년으로 예상된다. 미국 정부 승인 절차를 거쳐 일라이 릴리와의 업무 인수인계, 제품 밸리데이션, 시운전 등의 절차가 1년 정도 소요될 것이란 설명이다. 이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은 모두 미국 시장으로 유통될 예정이다.
이날 오전 온라인 간담회를 연 서정진 회장은 “미국에 수출하는 기업들은 어느 대통령이 들어서더라도 관세를 피할 수 없으므로 이를 상수로 봐야 한다”며 “관세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결국 ‘메이드 인 USA’가 답이고, 현재는 리스크처럼 보이지만 앞으로는 거래의 조건이 될 것이기 때문에 투자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키워드
#셀트리온주요기획 : [OLDs⑧] 코로나19 백신 피해자는 아직 터널 안에 있다
좌우명 : 진실에 가까이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