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식품부 국제농업협력사업으로 지원된 ‘필리핀 고품질 쌀 종자의 지속 가능한 생산·보급을 위한 역량강화사업’ 준공식이 지난 6일 필리핀 누에바에시아주 필라이스 본부에서 개최됐다. [사진=한국농어촌공사]
농림식품부 국제농업협력사업으로 지원된 ‘필리핀 고품질 쌀 종자의 지속 가능한 생산·보급을 위한 역량강화사업’ 준공식이 지난 6일 필리핀 누에바에시아주 필라이스 본부에서 개최됐다. [사진=한국농어촌공사]

【투데이신문 강현민 기자】 한국농어촌공사는 ‘필리핀 고품질 쌀 종자의 지속 가능한 생산 및 보급을 위한 역량강화사업’ 준공식이 6일 필리핀 누에바에시하의 필리핀 미작연구소 본부(Phil Rice CES)에서 열렸다고 10일 밝혔다. 이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가 자금을 지원하고 한국농어촌공사(이하 공사)가 수행한 사업이다.

이날 행사에는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정현정 경제참사관과 필리핀 농업부 니콜스 마날로 차관보를 비롯해 농식품부, 농어촌공사, 세계농정연구원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행사에서는 국제농업협력사업(ODA) 지원 시설 인수인계 서명식도 함께 진행됐다.

필리핀은 이모작이 가능한 기후에도 쌀 자급률이 낮다. 지난 2022년 자급률은 77%로 2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저품질 종자 사용에 따른 생산성 저하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국가 차원의 정선시설이 부족해 농가가 직접 종자를 선별하면서 평균 15% 이상의 손실과 오염이 발생했다.

또한 종자 저장 창고의 노후화로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농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는 연간 수천 톤의 종자를 정선·저장할 수 있는 현대식 저온 저장시설과 첨단 정선설비를 구축했다.

이번 사업으로 필리핀의 종자 생산·보급 체계가 고도화돼 현지 쌀 생산성과 식량안보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농어촌공사 김성경 글로벌사업처장은 “협력국 실정에 맞춘 종자 정선·저장 기반시설을 구축한 것이 이번 사업의 핵심 성과”라며 “농업기계 현대화, 관개시설 개선, 유통·가공 가치사슬 구축 등으로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농식품부와 공사는 필리핀 정부와 협력해 ‘농기계 조립단지 조성사업’ 등 농업 인프라 개선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필리핀을 포함한 아시아 주요 농업국과 K-농업 협력을 확대해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농식품부 김신재 글로벌농업개발추진팀 과장은 “지속 가능한 식량 체계 구축과 농업기술 이전을 중심으로 국제농업협력을 강화하겠다”며 “K-농업 협력을 통해 협력국과의 관계를 공고히 하고 우리나라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