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통일교 청탁·뇌물 수수 의혹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 된 김건희 여사가 9월 2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첫 재판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사진공동취재단]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통일교 청탁·뇌물 수수 의혹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 된 김건희 여사가 9월 2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첫 재판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사진공동취재단]

【투데이신문 성기노 기자】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정교유착’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검팀이 2023년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 통일교 신도 약 2천명이 조직적으로 입당한 사실을 특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검은 이 과정에 김 여사와 건진법사 전성배씨의 개입이 있었다고 보고, 입당 대가로 통일교 측에 정부 지원과 비례대표 공천을 약속했다고 공소장에 적시했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지난 7일 김건희 여사, 전성배씨, 한학자 통일교 총재 등을 정당법 위반 혐의로 추가 기소하면서 해당 내용을 공소장에 포함했다.

특검은 김 여사와 전씨가 공모해 당 대표 선거에서 특정 후보 당선을 위해 교인 집단 입당을 추진했고 통일교 측에는 그 대가로 정부 차원의 지원과 총선 비례대표 몫을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다고 결론냈다. 한 총재와 통일교 세계본부장 윤모씨, 전 총재 비서실장 정모씨가 이를 승인해 조직적 입당을 공모한 것으로 판단했다.

정당법 50조 1항은 특정 후보 선출을 위해 이익을 제공·약속하거나 이를 수수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특검에 따르면 집단 입당 계획은 2022년 11월 무렵부터 논의됐다. 당시 전씨는 권성동 의원을 지원 대상으로 거론했고, 윤씨는 전씨에게 “윤심은 정확히 무엇입니까”, “전당대회에 어느 정도 규모로 필요한가요”라는 문자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전씨는 “윤심은 변함없이 권”이라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권 의원이 불출마하면서 지원 대상이 김기현 의원으로 변경됐을 가능성에 대해 특검은 의심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김 의원 역시 특검의 수사선상에 오른 상태다.

특검은 지난 6일 윤 전 대통령 부부 자택 압수수색 과정에서 김 의원 부인이 김 여사에게 선물한 로저비비에 클러치백과 감사 편지를 확보했다. 특검은 이 선물이 김 여사의 ‘통일교 동원’ 대가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김 의원은 이에 대해 “신임 여당 대표의 배우자로서 사회적 예의를 갖춘 선물”이라고 해명했다.

특검은 이미 김 여사를 자본시장법 위반(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정치자금법 위반(명태균 공천개입),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건진법사·통일교 청탁) 혐의로 지난 8월 29일 구속기소한 바 있다. 한학재 총재 역시 ‘김 여사 연결고리’를 통해 정교유착을 시도한 혐의로 지난달 10일 정치자금법 위반 등으로 구속기소됐다.

이번 특검 공소장 추가 내용으로 통일교-대통령 배우자 간의 조직적 ‘정교 유착’ 정황이 보다 선명해진 셈이다. 또한 정치권에서는 김건희 여사측의 전당대회 개입 의혹이 단순한 ‘관계 의심’ 수준을 넘어 실체적 증거 단계로 넘어갔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