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왼쪽 세번째) 할머니와 최형석 전교조 경북 청송지회장이 8일 오후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를 채택한 경북 청송여고 박지학(왼쪽) 교장을 찾아 교학사 교과서 채택 철회를 요구하며 항의하고 있다 /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이수형 기자】교학사 교과서를 한국사 교재로 채택한 고등학교는 전국적으로 2개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학교조차도 논란의 불씨가 남아 있는 현 상황에서 아직 교과서 선정을 하지 못한 47개교 중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를 채택할 곳은 전무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야당 국회의원 14명은 9일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선정 결과를 최종 집계한 결과 전국 1794개 고등학교 중 교학사 교과서를 한국사 교재로 선택한 학교는 파주 한민고와 경북 청송여고 2곳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채택률은 0.11%다.

하지만 교학사 한국사 교재를 채택한 이들 학교 역시 "한국사 교과서 선정을 원점에서 재검토 하겠다"고 밝혀 와 이들 학교까지 교학사 교과서를 최종 선택하지 않을 경우 교학사 교과서 채택한 학교가 없어질 가능성도 크다.

실제로 교학사 교과서 채택 이후 학부모와 졸업생 반발이 커지는 등 논란이 불거지자 모두 20여개 고교가 교학사 교과서 채택을 철회하고 다른 출판사 교과서로 바꿨다.

한편 전국 1794개 고교 중 47개교는 현재까지 교과서 선정을 완료하지 않았다. 이들 학교들은 이달 중 학교운영위원회를 개최해 교과서 채택을 완료할 예정이지만 논란이 가시지 않은 현 상황에서 교학사 한국사 교재를 채택할 가능성은 희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학교들은 촉박한 교과서 채택 일정으로 인해 학교운영위원회도 소집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교과서 미선정 고교 가운데 절반이 넘는 25개교(53%)는 서울시교육청 관내 학교인 것으로 나타나 서울시 고교가 교과서 채택과정이 가장 원활하지 않았다.

또 인천 5개교, 충남 5개교, 전남 2개교, 광주 1개교, 경북 2개교, 경남 1개교, 대구 2개교, 울산 4개교도 교과서 선정 작업이 완료되지 못했다.

한편 교육부는 6~7일 이틀간 교학사 한국사 교재를 선정했다 철회한 전국 20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특별조사를 진행한 결과 일부 학교에서 시민단체 등의 외압이 있었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하지만 교과서 선정 과정에서 교장 등이 학교 교사들에게 교학사를 포함시키라고 하는 등 구성원 간의 외압에 대해서는 조사하지 않는 등 교육부가 '교학사 구하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 유기홍 의원은 "전국 고교 교장과 학교운영위원장 앞으로 교과서 불공정행위에 해당하는 홍보물과 대구지역 일반계 고교에 교과서채택의 공정성을 저해하는 공문이 발송됐지만 교육부는 해당 단체가 교과서 선정과정에 어떤 외압을 행사하려 했는지 조사한 적이 없다"며 "교육부의 특별조사가 일선학교의 교과서 선정에 대한 외압이며 '교학사 구하기'를 위한 과도한 행위"라고 교육부의 편향된 자세를 지적했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