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 여야정 협의체 구성 의견 접근

여야는 매년 정기국회 때 실시됐던 국정감사를 상반기와 하반기에 한 번씩 연 2회 실시하기로 잠정합의했다. 국감 시기는 6월과 9월이 검토되고 있다. 여야는 또 2월 국회운영에 대한 일정과 기초연금 관련 여‧야‧정 협의체 구성에도 의견을 접근했다.

민주당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수석 간 두 세 차례 만났고 21일에는 원내대표와 함께 협의가 있었다"며 "구체적 합의문 도출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정 수석부대표는 "올해부터 예산안이 국회에 제출되는 시기가 당겨진다"며 "그 일정에 맞춰서 국정감사를 상반기에 한 번, 후반기에 종합국감을 하는 식으로 실시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올해 국정감사는 상반기에 10일, 하반기에는 종합감사 형식으로 10일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야는 또 2월 국회 회기를 다음달 3일부터 28일까지로 하며 대표연설과 대정부질문은 통상적인 절차로 진행하기로 했다. 대정부질문은 2월 6일부터 11일까지 진행된다.

이와 관련해 정 수석부대표는 “질문자는 새누리당이 10명을, 민주당은 12명을 요구하고 있다”는 설명과 함께 "민주당 의원들이 정치, 외교통일, 안보, 교육, 사회, 문화, 경제분야에 걸쳐 5명의 의원이 필요한데 신청이 저조하다"며 "현안이 많아 전문성 있는 의원들이 많이 나서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기초연금문제와 관련, 여‧야‧정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잠정합의했다.

정 수석부대표는 "기초연금과 관련한 민관정 협의체를 구성하려고 했으나 여야정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잠정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북한인권법과 관련해선 더이상 진전이 없다"면서 정치개혁특위 운영과 관련 "이달 말 활동기간이 종료돼 연장을 요구했고 새누리당에서 확답을 안했다"며 "반드시 연장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