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경원-박원순 ⓒ뉴시스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지금은 상생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지방정부 차원에서 여야가 상생과 협치를 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새누리당 나경원 서울시당위원장은 보궐선거 이후 만나 정책 협의를 논의했다.

원희룡 제주지사 역시 협치의 돛을 올리고 있고, 남경필 경기지사 역시 연정의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지방정부의 이런 실험은 그야말로 실험이다. 하지만 이런 실험을 통해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지방정부로서는 챙겨야 할 일이 많이 있다. 일단 중앙정부와 협력을 해서 중앙정부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또한 지방의회가 전폭적인 지원과 지지를 해줘야 지방정부의 시정운영이 가능하다. 즉, 중앙정부처럼 야당이면 야당, 여당이면 여당 단독으로 운영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앙정부와 지방의회의 전폭적인 지원과 지지가 있어야만 성공적인 시정운영이 가능하다. 따라서 중앙정부에 협조를 구하고, 지방의회에 협조를 구하기 위해서는 연정이 필요하다. 박원순 서울시장이나 남경필 경기지사, 원희룡 제주지사의 경우 상황이 더욱 그러하다.

박원순 서울시장의 경우 야당 시장이다. 즉, 중앙정부의 협조를 받아야 한다. 그리고 서울이라는 지역의 지방의회는 어느 한쪽 즉 여당이면 여당 야당이면 야당이 과반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대 정당을 협력 파트너로 인정하지 못할 경우 시정 운영을 제대로 할 수 없다.

따라서 박원순 서울시장의 경우 새누리당 나경원 서울시당위원장과 협력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남경필 경기지사의 경우에도 지방의회는 야당과 여당의 의석수는 비슷한 형국이다. 이는 제주도도 마찬가지. 따라서 연정을 하지 않으면 성공적인 시정이 불가능하다.

또한 이들 지역이 연정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차기 대권이라는 문제도 있다. 이들 세 지역 단체장들은 기존의 리더십과 다른 리더십을 보여줘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즉, 상대 정당에 대한 포용력 있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차기 대권에 한 발 다가가겠다는 것이다.

중앙정부와 국회가 상생의 정치 대신 마이너스 정치를 보여주고 있는데 자신들은 상생과 협력의 정치를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이는 차기 대권을 노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그 새로운 시도가 과연 얼마나 많은 실익을 거둘 수 있을지는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할 것이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