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국회는 4월 임시국회 회기 중에 있다. 더욱이 20일에는 상임위원회를 전면 가동하고 각종 법안 심의에 본격 착수한다.

하지만 민생현안 관련 법안은 뒷전으로 밀려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 이유는 성완종 리스트 파문이 정국을 강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야는 법제사법위, 정무위, 안전행정위 등 8개 상임위 전체회의를 20일 열기로 했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당은 성완종 리스트 파문을 ‘친박 게이트’로 명명하고 전면전에 나섰다.

지난 대정부질문에서 ‘이완구 청문회’를 사실상 열었고, 이 대정부질문에서 많은 소득을 얻은 야당으로서는 상임위에서 성완종 리스트 파문을 파헤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완구 국무총리의 금품수수 의혹에 이어 전현직 청와대 대통령실장과 새누리당 소속 현직 광역단체장들이 금품수수 의혹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상임위에서 이들에 대해 따져 묻겠다는 것이 야당의 전략이다.

법사위에서는 황교안 법무부 장관을 불러서 현재 이뤄지는 수사를 확인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안행위에서는 경찰을 상대로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정치권 금품수수 의혹에 대한 수사 상황 등을 캐물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회 운영위원회에서는 성완종 리스트 당사자로 거론되고 있는 이병기 대통령 비서실장을 국회에 불러낼 방침이다.

아울러 안행위에서는 서병수 부산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홍준표 경남지사의 출석을 요구하고 있다.

물론 새누리당은 이에 대해 아직 검찰 수사가 끝나지 않았는데 관련자를 부르는 것은 정치적 공세에 불과하다면서 불가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미 이완구 국무총리를 통해 많은 이득을 얻은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당으로서는 관련자의 출석을 요구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로 인해 일부 상임위에서는 증인 출석을 놓고 갈등을 보이면서 파행이 불가피해 보인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