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시스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 지난 9일 열린 새누리당 전당대회는 친박이 비박을 진압하는 전당대회였다. 압도적인 표차로 당권을 거머쥔 것이다.

4월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참패를 한 후 비박계가 당권을 장악하고 흔드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게다가 친박계 실세가 지난 총선 공천 과정에서 공천 개입한 의혹 등이 불거지면서 친박계의 입지가 좁아졌다.

때문에 이번 전당대회에서 친박계가 힘을 발휘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하지만 압도적인 표차이로 승리를 하면서 비박을 진압했다.

더욱이 최고위원 역시 강석호 의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두 친박계 인사들이다. 그런 의미에서 친박계가 비박계를 압도적으로 눌러 버렸다고 할 수 있다.

이정현 신임 당 대표는 당선 수락연설에서 계파 청산을 외쳤다. 이제부터 계파는 없다고 외쳤다. 하지만 과연 계파가 없을지는 두고 봐야 할 문제다.

이미 전당대회를 통해 계파 갈등은 증폭된 상황이다. 전당대회 과정에서 후보자 모두 계파 청산을 외쳤지만 비박게는 친박계의 지난 총선 참패 책임론을 들고 나왔다. 그리고 정권재창출을 위해서는 비박계 후보가 당 대표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물론 압도적인 표 차이로 친박계가 당권을 쥐게 되면서 비박계가 당분간 쥐 죽은 듯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정현 신임 당 대표가 청와대 홍보수석 당시 KBS 김시곤 보도국장에게 보도지침을 내린 녹취파일이 세상에 공개됐고, 최경환·윤상현 의원과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김성회 전 의원에게 지역구를 옮기라는 협박과 회유가 담긴 녹취파일이 세상에 공개됐다.

이 문제를 털고 가지 않으면 자칫하면 계파 갈등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 친박계가 비박계 대권 주자들 죽이기에 나서는 등의 모습을 보이게 된다면 비박계로서는 가만히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결국 내년 대선 경선을 놓고 친박계와 비박계가 상당한 각을 세울 것이 분명하다. 특히 친박계 지도부가 공정 경선을 약속하지 않고 특정 후보를 전폭적으로 지원할 경우 비박계가 가만히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무엇보다 김무성 전 대표가 차기 대권 도전을 꿈꾸고 있기 때문에 친박계 대선 후보와 격돌을 벌이게 된다면 계파 갈등은 다시 증폭될 수밖에 없다. 그야말로 새누리당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그런 상황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다.

때문에 이정현 당 대표 체제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계파 갈등을 어떤 식으로 봉합하느냐의 문제이다. 단지 선언적 구호에 그친다면 결국 계파 갈등은 다시 증폭될 수밖에 없다.

또 다른 문제는 내년 상반기에 치러질 재보선이 문제다. 내년 상반기 재보선에서 과연 이정현 당 대표 체제로 선거를 치를 경우 얼마나 승리를 할 수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 재보선에서 패배를 할 경우 이정현 당 대표 체제는 흔들릴 수밖에 없다. 그때에는 비박계가 대대적으로 흔들어댈 것이 분명하다.

때문에 내년 상반기 재보선의 결과에 따라 이정현 당 대표 체제가 계속 유지가 될 것이냐 아니면 새롭게 또 다시 당 대표 체제를 바꿔야 할 것이냐를 결정지을 수 있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