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 새누리당의 새로운 지도부로 이정현 당 대표가 선출됐다. 또한 최고위원 역시 친박 일색이다. 이는 앞으로 새누리당 대권 경쟁이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들게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새누리당 대권 주자로 거론된 인물들이 김무성 전 대표,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문수 전 경기지사, 남경필 경기도지사 원희룡 제주지사 등이다. 이들 모두 비박계 인사들이다.

비박계 인사들이 대권 주자로 거론되는 반면 친박계로서는 아직까지 뚜렷한 인물이 없었다. 그런데 친박계 당 지도부가 탄생함으로써 이제 새로운 대권 후보를 내세울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더욱이 친박계 입장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을 잇는 친박계 인사가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돼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그래야만 친박계가 앞으로도 계속 권력을 틀어쥘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친박계는 이제부터라도 새로운 대선 후보를 내세울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유력한 인물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반 총장은 옛날부터 친박계 대선 후보로 거론된 인물이다.

하지만 그동안 새누리당 당권을 친박계가 쥐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과연 반 총장이 대선 후보로 오를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의문부호를 찍었다. 그런데 새누리당이 친박계 지도부가 탄생하면서 이제 반 총장의 대선 가도에 발판을 마련한 셈이다.

친박계는 계속해서 반 총장을 대선 후보로 띄우기 위한 작업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반 총장으로서는 나쁘지 않은 상황이다. 왜냐하면 충청권 대선 주자에 영남 표심을 얻는 것은 물론 호남 당 대표라는 지역구도가 있기 때문에 반 총장으로서는 해볼만한 경기가 되는 셈이다.

그렇게 되면 비박계 대선 후보와의 경쟁이 불가피하다. 비박계 대선 후보들은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모습이다. 반 총장 대망론이 다시 불을 붙게 된다며 비박계 대선 후보들이 그만큼 가려지게 되는 셈이다.

더욱이 비박계 대선 후보들은 이번 전대 결과에 따라 정치적 입지가 상당히 좁아지게 됐다. 무엇보다 김무성 전 대표는 노골적으로 비박계 후보를 지원사격했지만 압도적인 표차이로 친박계 후보가 당 대표가 되면서 김무성 전 대표는 지난 총선과 이번 전대를 통해 씻을 수 없는 치명타를 얻었다.

비박계로서는 상처가 상당히 난 것이다. 반면 친박계는 지난 총선의 상처가 치유된 셈이다. 이제 친박계는 반 총장 띄우기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그것이 내년 대선 경선에 불을 붙이게 만들었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