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뉴시스 | ||
국민의당, 제3 지대 역할론 급부상하고 있어
제3 지대 조성 위해 국민의당 해체해야 하나
국민의당 중심으로 제3지대 형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지지율 급락에 따른 새로운 변화 위한 몸부림 치고 있어
국민의당이 새로운 변화를 위한 선택에 직면했다. 정계개편의 주역이 될 것인지 아니면 발전적 해체를 할 것인지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것이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정권교체를 하기 위해서 국민의당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이제는 선택해야 하는 시간이 된 것이다. 어떤 방향을 선택하더라도 쉽지 않은 길임에 틀림없다.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국민의당이 앞으로 어떤 식으로 변화할 것인가에 대해 세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민의당의 태도 변화에 따라 야권 지형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친박이 당권을 장악함으로써 비박계가 비주류로 전락했다. 이대로 가면 비박계 대권 주자는 내년 대선에 출마하지도 못하는 가능성이 크다. 더불어민주당은 추미애 대표 체제가 되면서 친문재인 체제로 굳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때문에 내년 대선에서 비주류에게 기회가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처럼 새누리당은 친박계가, 더불어민주당은 친문계가 장악하면서 제3지대론이 불거져 나오기 시작했다. 친박과 친문이 아닌 제3의 영역에서 새로운 대권 주자를 배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내년 대선을 새누리당 후보, 더불어민주당 후보, 그리고 제3의 후보 등 3자 구도로 만들 계획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제3 지대에서 국민의당이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발전적 해체
일각에서는 발전적 해체를 얘기하고 있다. 즉, 국민의당이 아닌 제3지대를 만드는 신당 창당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년 대선에서 국민의당 후보가 아닌 다른 정파의 세력 후보까지 끌어들여서 대선 경선을 해야 한다. 그러자면 국민의당이 만들어놓은 틀에서 대선 경선을 할 경우 과연 누가 이 틀에 들어오려고 할 것인가에 대한 회의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손학규 전 상임고문의 경우에도 국민의당이 만들어놓은 틀에 들어와서 대선 경선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때문에 국민의당이 만들어놓은 틀을 깨고 새로운 틀에서 대선 경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것이 바로 국민의당을 발전적으로 해체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권교체를 위해서는 보수와 진보를 아우르는 새로운 틀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만 정권교체를 이뤄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이 이런 발전적 해체를 주장하는 이유는 국민의당이 안철수 전 대표 사당화 논란에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국민의당은 지난 2월 2일 창당했다. 그리고 지난 4월 총선에서 돌풍을 일으켰다. 이 중심에는 안철수 전 대표 개인이 있었다. 만약 안철수 전 대표가 없었다면 국민의당은 이 정도의 돌풍을 일으키기 어려웠다. 그러다보니 안철수 사당화 논란이 불거졌다. 물론 김수민 의원 리베이트 의혹 이후 안철수 전 대표가 사임을 했지만 아직도 안철수계가 당권을 장악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다른 대권 주자들이 국민의당에 들어와서 대선 경선을 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다른 대선 후보에게도 기회를 주기 위해서는 국민의당을 해체하고 새로운 정당을 창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3지대론
또 다른 세력 역시 발전적 해체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앞서 언급한 발전적 해체와는 다른 발전적 해체이다. 내년 재선에서 정권교체를 이루기 위해서는 좋든 싫든 더불어민주당과 후보 단일화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제3자 구도로 갈 경우에는 야권이 필패한다는 이유에서다. 때문에 야권이 정권교체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더불어민주당과 후보 단일화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자면 국민의당이나 더불어민주당이나 발전적 해체를 해서 새로운 정당을 창당해 새로운 대선 경선 룰을 갖고 대권 도전을 하는 것이 어떻겠냐는 의견이다. 물론 이에 대한 실현 가능성은 희박하다. 하지만 국민의당 일부 세력은 언젠가는 더불어민주당과 하나가 돼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때문에 발전적 해체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는 것이다.
물론 이에 대해 국민의당 일각에서는 발전적 해체는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총선 민심이 국민의당을 제3 정당으로 만들어줬는데 발전적 해체를 한 후 신당을 창당하다는 것은 총선 민심에 반한다는 것이다.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국민의당이 정기국회에서 어떤 성적을 남기느냐에 따라 국민의당의 소멸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면서 일단 신중한 입장을 표명했다. 이들은 국민의당이 계속 존재해야 하며 국민의당이 야권통합의 주도권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새누리당 후보, 더불어민주당 후보 그리고 국민의당 후보로 대선을 치러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민의당 이외의 다른 세력을 국민의당으로 흡수해서 대선을 치르겠다는 것이다. 국민의당이 야권 지형의 주도권을 쥐고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
안철수의 선택은
하지만 국민의당 상황은 복잡하다. 이유는 최근 지지율이 하락했고, 반등의 기회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안철수 전 대표도 언론의 주목도가 상당히 떨어졌다. 아울러 당원 모집은 생각처럼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대로 가면 국민의당이 무너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감돈다. 국민의당으로서는 새로운 돌파구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때문에 발전적 해체니 정계개편의 주도권 역할이니 하는 소리가 나오는 것이다. 문제는 그런다고 해서 과연 지지율이 얼마나 반등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언론의 주목도가 얼마나 높아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왜냐하면 과거처럼 유권자들이 헤쳐모여한다고 관심을 가져주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자기네들끼리 해먹는다’라면서 조롱을 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정치공학적 차원에서 대선을 접근할 것이 아니라 국민을 위한 대선이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봐야 한다는 충고를 던지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