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시스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새누리당 대권 주자들이 ‘모병제’ 기 싸움을 벌이고 있다.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상태에서 지금처럼 징병제를 고수할 수 없으니 모병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 내용인데 이를 두고 여당 대권 주자들이 설전을 벌인 것이다.

가장 먼저 포문을 연 사람은 남경필 경기지사이다. 남 지사는 지난 5일 인구절벽에 부딪힌 상황에서 기존 병력 규모를 유지할 수 없다며 ‘모병제’ 도입을 주장했다.

모병제 도입을 주장한 남 지사는 언론의 주목을 받으면서 사실상 성공한 듯 했다. 하지만 같은 당 유승민 의원이 곧바로 반대하고 나섰다.

유 의원은 지난 7일 한림대 강연에서 “최근 모병제를 주장하는 분들이 있는데 우리나라 안보 현실을 모르는 말도 안 되는 주장으로 정의롭지 못한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그러자 남 지사는 “저의 모병제 도입 주장에 대한 유승민 의원님의 비판을 환영한다”면서도 “모병제는 정의롭지 못하다 하셨다. 정의에 대해 논쟁하자”는 글을 올려 맞불을 놓았다.

대권 도전을 선언한 정우택 의원은 최근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북한 핵무장과 미사일 문제로 국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는데 모병제를 도입한다는 것은 안보를 포기하는 것”이라며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대권 도전을 생각하고 있는 원유철 의원 역시 8일 페이스북을 통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으로 심각한 안보위기 상황에서 모병제 논란은 시기적으로 적절치 않다”면서 뜻을 밝혔다.

이처럼 여권 대권 주자로 분류되는 인물들이 모병제에 대한 찬반 토론을 벌이기 시작했다. 이는 새누리당에게는 유리한 국면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안보정당이라는 이미지가 각인된 새누리당으로서는 가장 최적의 공약을 놓고 대권 주자들끼리 격한 토론을 벌이게 된다면 대권 이슈를 선점하게 되는 셈이다.

또한 새누리당은 안보정당이라는 이미지를 더욱 공공히 할 기회이기도 하다. 이에 새누리당은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 문제와 맞물리면서 안보 이슈를 부각시킬 가능성이 높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