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왼쪽부터 늘푸른한국당 이재오 공동대표, 정의화 전 국회의장, 더불어민주당 손학규 전 상임고문 ⓒ뉴시스 | ||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 내년 대선 시계가 빨라지고 있다. 이에 발맞춰 제3지대론이 계속해서 정치권에 화두가 되고 있다.
제3지대론은 대세론에 휩싸인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만으로는 대선을 치를 수 없다고 판단한 정치권 안팎에서 나온 이야기다.
제3지대론의 시나리오 중 하나는 친박과 친문을 배제한 나머지 세력이 연합해서 제3지대에서 창당을 하자는 것이다. 이는 국민의당 일부 인사들의 생각도 들어가 있다. 다시말해 지금 대권주자로 물망에 오른 사람으로는 정계개편이 어렵다는 생각이다.
여권에서는 친이계 맏형인 이재오 전 의원이 ‘늘푸른한국당’ 창당을 준비하고 있으며 정의화 전 국회의장이 대선 전초 기지인 싱크탱크 ‘새 한국의 비전’을 앞세워 세를 규합하고 있다.
야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손학규 전 상임고문이 있다. 손 전 고문이 곧 정계복귀를 하고 제3지대에서 활동을 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처럼 제3 지대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이들은 대세론에 치우치지 않고 자신의 독자영역을 만들어서 내년 대선에서 승리하겠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들의 움직임이 과연 얼마나 파장을 불러일으킬지에 대해 의문부호를 찍는다.
우선 지금까지 전례를 비춰볼 때, 거대 양당 사이에서 제3지대가 성공한 사례가 극히 드물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소선거구제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또한 국민적 공감대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물론 대세론을 경계하자는 것에는 공감대를 갖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대세론을 대체할만한 인물들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다시 말하면 태풍을 일으킬만한 인물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제3지대론이 찻잔 속의 태풍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주목하는 이유는 따로 있다. 그들은 최소한 대선의 승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자신은 당선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최소한 상대 후보의 당락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제3지대론에 대해 정치권 안팎이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