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부터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 ⓒ뉴시스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로 불리는 최순실 씨가 대통령의 연설문을 사전에 입수했다는 의혹이 보도되면서 정치권에는 상당한 파장이 일어나고 있다.

야당은 물론 여당에서도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이번 최순실 게이트에 대해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결국 박 대통령이 지난 25일 대국민사과까지 했다. 그런데 이 대국민사과가 오히려 또 다른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최순실 게이트가 이제 새누리당 내부까지 들쑤셔 놓고 있는 형국이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최순실 게이트의 진상규명을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인지를 두고 깊은 고민에 빠졌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국정조사를 해야 한다’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또 다른 한쪽에서는 ‘특검’을 염두에 두고 있다.

여권에서는 ‘특검’에 기울어진 모습이고 야권에서는 ‘국정조사’에 힘을 실어주는 모습이다. 이는 정치적 이해득실 때문이다.

특검은 최종적으로 임명권자가 대통령이다. 즉, 특검을 도입할 경우 최종 임명권자가 대통령이 되기 때문에 대통령을 향해 특검의 칼날이 과연 겨눠질지에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

물론 특검이 대통령을 향해 칼날을 겨눌 수도 있다. 하지만 임기가 아직 1년이나 남은 대통령에게 칼날을 겨누기란 쉽지 않다. 때문에 여권으로서는 최순실 씨를 털어버리고 박 대통령을 살리는 방안으로 특검을 생각하고 있다.

반면 야권이 생각하고 있는 국정조사는 ‘강제수사권’이 없다. 국회의원이 임의로 조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체적 진실에 접근하기는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혹 제기는 할 수 있다. 국회에서 국회의원이 면책특권을 갖고 다양한 의혹을 제기할 수 있다. 때문에 야당 입장에서는 의혹 제기를 강하게 할 수 있는 국정조사가 오히려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정치권 일각에서는 국정조사도 하면서 특검도 함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워낙 사안이 중대하기 때문에 국정조사와 특검을 함께 하자는 것이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