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 ⓒ뉴시스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 이른바 최순실 게이트가 친박의 몰락을 가져왔다. 최순실 씨가 대통령 연설문을 사전에 입수한 사실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이 대국민사과를 하면서 새누리당은 혼란에 빠졌다.

새누리당은 수습책으로 무엇을 사용해야 할지 모를 정도로 고민에 빠졌다. 현재 박 대통령의 탄핵이나 하야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새누리당은 자세를 제대로 잡지 못하면 기류에 휩쓸려 함께 침몰할 수도 있다.

때문에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개혁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새누리당 지도부의 총사퇴를 주장하고 나섰다.

박 대통령과 한 몸이라고 할 수 있는 새누리당 친박계 지도부가 몰락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만 내년 정권재창출을 이뤄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새누리당 내에서 친박계가 곧 몰락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친박계가 이제 더 이상 힘을 쓸 수 없을 정도로 정치적 타격을 입었다는 것이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이번 사안이 어떤 식으로 수습이 되더라도 이정현 대표 체제는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정현 대표 체제가 흔들려서 교체된다고 해도 과연 새누리당의 위기를 수습할 능력을 가진 인물이 있겠느냐는 것이다.

이정현 대표 체제가 물러난 이후 비대위 체제로 전환되고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 문제는 내년 4월 재보선이 있다. 따라서 새로운 지도부가 내년 4월 재보선을 치르는데 만약 여기서 새누리당이 패배할 경우 새로운 지도부도 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다.

결국 새누리당으로서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그런 상황이 된 것이다. 앞으로 친박계의 목소리는 더욱 좁아질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반기문 대망론도 함께 무너질 가능성이 높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대권 도전을 강하게 추진하는 세력이 친박계인데 친박계가 몰락하게 되면 반 총장으로서는 내년 대권 도전의 발판을 잃어버리는 상황이 된다.

친박의 몰락으로 인해 향후 정치적 파장은 걷잡을 수 없는 상황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