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 대한민국이 붕괴 위기에 놓였다. 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나라가 혼란에 빠졌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 장악력은 사실상 상실했다. 이로 인해 대안으로 떠오르는 것이 거국중립내각이다.

야권에서 이미 거국중립내각 구성을 요구했다. 그리고 지난 30일 새누리당마저 거국중립내각을 요구했다.

아마도 박 대통령이 결국 거국중립내각을 수용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것이 정가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만약 거국중립내각을 꾸리게 된다면 과연 누가 총리를 할 것이냐는 문제가 남아있다. 거국중립내각 하에서 총리는 현재의 총리보다는 오히려 대통령의 역할에 가깝다. 대통령은 외교·안보 등 외치에만 집중하고 총리는 내치를 하기 때문이다.

거국중립내각은 여야가 합의를 해서 구성을 한다. 따라서 여당은 물론 야당도 수긍할 수 있는 그런 총리를 임명해야 한다.

때문에 여러 사람이 거론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전 대표, 김황식 전 총리,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고건 전 총리, 더불어민주당 손학규 전 상임고문,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한화갑 한반도평화재단 총재 등이 떠오르고 있다.

그중 가장 현실성이 높은 인물로 김종인 전 대표이다. 왜냐하면 야당은 물론 새누리당에서도 김 전 대표를 꼽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김종인 전 대표 역시 대통령이 전권을 주면 받아들일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강봉균 전 장관은 김대중 정부 시절 재정경제부 장관을 지냈고, 2002년 대선에서는 당시 노무현 대통령 후보의 경제분야 공약을 주도한 데 이어 20대 총선을 앞두고는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대표의 대항마로 새누리당 선거대책위원장을 지냈다.

손학규 전 고문은 한나라당 출신인데다 최근에는 민주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정계복귀를 선언한 상태이다. 고건 전 총리 및 그 이외의 사람들이 거론되고 있다.

문제는 거국중립내각이 구성되면 아마도 그 거국중립내각은 개헌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거국중립내각 총리로 거론되는 유력인사 상당수가 개헌을 내걸고 있기 때문이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