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왼쪽부터 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본부 김성달 국장, 남은경 정책국장, 김헌동 부동산건설개혁본부장, 정책국 서휘원 간사. ⓒ경실련

【투데이신문 한영선 기자】 21대 국회 초선 의원 10명 중 3명은 주택 2채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라는 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16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련)은 ‘21대 초선 국회의원 부동산재산 분석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21대 초선의원 27.8%인 42명이 2주택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라고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이들 중 재산 상위 10%에 해당하는 15명의 부동산재산 신고총액은 873억원으로 1인당 평균 58억2000만원 상당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국회의원 총선 출마 당시 각 후보들이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한 부동산 재산을 토대로 작성됐다. 총선 이후 매각한 부동산은 이번 자료에 반영되지 않았다.

경실련에 따르면 초선 국회의원 151명의 부동산 신고총액은 총 1768억원이고, 1인당 평균 11억7000만원으로 신고액만으로도 국민 평균 3억원의 4배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 정당별로는 미래통합당 미래한국당이 18억5000만원이고, 더불어민주당과 더불어시민당이 7억8000만원이라 미래통합당이 여당보다 약 2배 이상 많은 수치라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경실련은 부동산 재산 상위 10%인 15명의 부동산재산 신고 총액이 1인당 평균 58억원이라고 전했다. 경실련은 백종헌 미래통합당 의원이 170억2000만원, 김은혜 미래통합당 의원이 168억5000만원, 미래한국당 한무경 의원이 103억5000만원이었다. 

경실련이 본인 배우자 명의로 보유한 주택의 수도권 편중 실태를 조사한 결과 173채 중 82채(47.4%)가 서울에, 경기인천까지 포함하면 119채(68.8%)가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실련은 “주택가액 기준으로 전체 976억원 중 서울이 649억원(66.5%), 수도권 823억원(84.4.%)으로 서울과 수도권 편중이 매우 심각하다”며 “지방은 153억원(15.6%)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초선 의원 중 22명 중 서울이 지역구인 의원은 4명에 불과하며, 12명은 지역구가 서울 이외이고, 6명은 비례대표 의원이다. 지역구가 아닌 강남4구 주택보유는 초선 의원이나 재선의원들이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경실련은 “국회가 집값 안정과 고위공직자의 투명한 재산공개를 위해 관련법 개정에 앞장설 것을 촉구한다”며 “부동산 재산을 모두 실거래가(시세)로 신고하고, 주소 등 세부내용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하고, 부동산재산이 많거나 다주택 보유 국회의원들은 기재위, 국토위 등 관련 상임위에 배정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