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뉴시스

【투데이신문 전소영 기자】 의사 국가시험(이하 국시) 거부와 관련해 주요 대학병원장들의 사과와 재응시 기회 부여 호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시 응시 거부와 관련한 질의에 이 같은 취지로 답했다.

앞서 이날 오전 주요 대학병원장들은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매우 어려운 시기에 의대생들이 국시 문제로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코로나19 팬데믹이 언제 끝날지 모르는 엄중한 시점에 의사가 배출되지 못하는 상황은 심각한 의료공백”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시가 정상화된다면 이번 의대생들은 이전과 다르게 국민들을 위하는 진정한 의사로 태어날 것을 믿는다”며 “6년 이상 학업에 전념한 의대생들이 미래 의사로서 국민 곁을 지킬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해 주길 간곡히 호소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정부의 입장은 단호했다.

박 장관은 국정감사에서 ‘국민에게 진심 어린 사과를 한다면 기회를 주겠느냐’는 질문에 “진심 어린 사과를 했을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복지부와 의료계의 관계가 아닌 대국민과의 관계”라고 답했다.

이어 “1년에 수백개씩 열리는 국가시험 가운데 어느 한 시험만 예외적으로, 게다가 사유가 응시자의 거부로 인한 재응시는 사회적으로 어려운 문제”라며 다른 국가시험과의 공정성·형평성을 근거로 국민적인 양해가 선행되지 않는 이상 추가 응시 기회 부여가 곤란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