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3월 소비자동향조사
소비자심리지수 석 달째 상승
【투데이신문 김효인 기자】 소비자심리가 석 달째 상승세를 보이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확산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이는 백신 접종 시작과 함께 수출 상황 개선 등 요인이 겹친 결과로 해석된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3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한 달 전보다 3.1포인트 오른 100.5를 기록했다. 해당 지수가 100을 넘긴 것은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시작한 지난해 1월(104.8) 이후 처음이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중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등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다. 100보다 낮으면 장기평균(2003∼2020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CCSI 구성지수별로 보면 현재생활형편지수(89)와 생활형편전망지수(95)는 한 달 전보다 각각 2포인트, 1포인트 올랐다. 소비지출전망지수(107)는 3포인트 올랐으며, 이는 지난해 1월(110)에 근접한 수준이다.
현재경기판단지수(72)와 향후경기전망지수(93)는 각각 9포인트, 3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가계수입전망지수(96)는 지난달과 동일했다.
CCSI에는 포함되지 않는 지수 중 주택가격전망지수(124)는 한 달 사이 5포인트 내렸다. 작년 말까지 최고치 경신을 이어갔으나 올해 1월부터 석 달 연속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물가상승에 대한 기대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1%로 0.1%포인트 올랐다. 이는 지는 2019년 7월 이후 최고치이자 두 달 연속 상승세로, 1년간 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 또한 2.1%로 같았다. 물가수준전망CSI도 146으로 2포인트 올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CCSI 산출에 쓰이는 6개 지수 중 가계수입전망지수를 뺀 나머지 5개 지수는 전체적인 장기 평균선에 근접한 수치”라며 “이는 (코로나19 이전의) 정상적인 수준으로 회복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거리두기 단계가 완화하면 바로 소비를 더 많이 하려는 심리는 커진 분위기”라며 “다만 물가가 실제 오름세로 이어질지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김효인기자의 내맘대로 레트로 시리즈, 물티슈의 배신 시리즈, 젠더 이코노미 시리즈
좌우명: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