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새 정부 출범, 부동산 정책 확실시 돼야”

[사진제공=뉴시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주가영 기자】 시중은행의 금리 인하 등 대출 규제가 완화되면서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하락세가 멈춰 섰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은행의 지난 21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총 703조448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3월 말 703조1937억원보다 2547억원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은 506조7174억원에서 507조1182억원으로 4008억원 증가했다. 전세자금 대출은 131조3349억원에서 131조5435억원으로 2086억원 늘었다. 

반면 신용대출은 133억3996억원에서 133억2242억원으로 1754억원 감소했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은 지난 1월(-1조3634억원), 2월(-1조7522억원), 지난달(-2조7436억원) 감소세였는데 4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가계대출이 다시 늘어난 것은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부동산 및 대출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기대심리를 기반으로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인하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들은 최근 대출금리를 최대 0.5%포인트 인하하는 등 대출 영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규제 완화 움직임에 부동산 거래도 늘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계약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는 1359건으로 1월(1087건)보다 2월(810건)에 소폭 증가했다. 경기 부동산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경기도의 아파트매매(5706건)도 전월(3853건)보다 48% 늘었다.

은행권에서는 새 정부 출범 후 부동산 규제가 일부 완화되고, 오는 8월부터 전세계약갱신청구권을 쓸 수 없는 사례가 늘어나면 대출 수요가 더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이창용 신임 한국은행 총재는 가계부채 증가 억제 의지를 분명히 밝혀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예상되고 있다.

부동산 정책이 완화된다고 해도 대출 규제가 풀어지지 않으면 가계대출 증가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아직까지는 수치상 하락세가 주춤하고 약간 오른 정도지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라며 “시기상으로 임대차보호법, 이사수요 등 증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새 정부가 출범하고 정확한 부동산 정책이 확실시돼야 알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