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주환 기자】 포털 뉴스 신뢰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협의체가 출범했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24일 포털 뉴스 신뢰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해 첫 논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포털 중심 뉴스서비스 생태계의 공정성과 미디어 플랫폼의 신뢰성‧투명성 강화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의체 활동은 약 6개월간 이어질 예정이며 미디어·법학 등 관련분야 전문가와 관계 부처 담당자들로 구성된다.
포털 뉴스 서비스는 2000년 전후로 출시됐다. 포털이 언론사 제휴를 통해 기사를 제공받고 이용자에게 노출시키는 구조다.
이용자가 포털 서비스를 통해 언론사 뉴스를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지난해 기준 이용률 79.2%를 기록했다.
방통위는 이용자의 편익과 권리 등 포털 중심 언론 생태계의 긍정적 기능을 인정하면서도 ▲뉴스 서비스 제공 방식의 문제 ▲확증 편향 등 뉴스 소비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균형 잡힌 여론 형성을 위한 정책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선 윤석열 정부도 ‘미디어 플랫폼의 신뢰성·투명성 강화’를 국정과제로 선정한 상황이다.
미디어 플랫폼 국정과제는 뉴스 추천 알고리즘에 따른 기사 배열의 책임성 및 신뢰성과 포털 뉴스 서비스 제공 방식·절차의 투명성 제고를 골자로 한다.
방통위는 국정과제의 구체적인 이행을 위해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의 구성·운영에 관한 투명화 방안 ▲확증 편향을 유발하는 알고리즘 추천 등의 개선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방통위 안형환 부위원장은 “이번 협의체를 통해 이용자의 편의성 등 포털 뉴스의 긍정적 기능을 살리되, 포털이 뉴스 매개자라는 본연의 역할을 다해 균형적인 여론을 형성하고, 건전한 언론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주요기획: [도시 개발의 그림자, 구룡마을], [新중독 보고서], [디지털 신곡(神曲)]
좌우명: 시민의 역사를 기록하는 기자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