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 청년층‧고령층 채무자 빠르게 증가
진선미 의원 “취약차주 리스크 관리 나서야”

[사진제공=뉴시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박주환 기자】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가 450만명을 넘어섰다. 특히 청년층과 고령층 채무자가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리스크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13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령별 다중채무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다중채무자의 수가 급증, 45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금융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는 빚으로 빚을 갚는 경우가 많아 한국 경제의 약한 고리로 지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급격하게 금리가 인상되면서 상환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다중채무자는 지난 2018년 12월 424만4000명에서 2021년 12월 450만2000명으로 6.1% 늘어났다. 이 기간 청년층과 고령층의 다중채무자 증가 현상이 두드러졌는데 청년층은 30만1000명에서 36만9000명으로 22.7% 증가했으며 고령층은 42만4000명에서 54만9000명으로 29.4% 늘었다. 

전체 채무자 중 다중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9년 12월 22%에서 지난해 12월  22.6%으로 올랐으며 같은 기간 청년층 다중채무자 비중도 13.3%에서 15.6%로 상승했다. 이 같은 추세는 올해에도 이어져 6월말 기준 16.4%까지 증가한 상황이다. 

이와 함께 다중채무자들의 채무 규모는 598조3345억원으로 집계됐으며 1인당 평균 채무액은 1억3269억원으로 나타났다. 1인당 평균 채무액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1억4625만원을 빌린 40대로 나타났으며 50대가 1억4068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와 관련 진 의원은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이 겹치며 다중채무자를 중심으로 대출이 부실화될 우려가 있다”라며 “우리 경제 전반의 위기로 전이될 수 있는 만큼 청년층과 고령층을 비롯한 취약차주의 채무조정, 대환대출 등을 고려해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