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발표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 연계
방화차량기지·건설폐기물업체 이전 합의
수도권 교통편의 및 균형발전 기대...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정부의 김포 신규택지 조성계획에 맞춘 서울 지하철 5호선 김포 연장선 방안이 본격 추진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1일 오전 서울시청 영상회의실에서 김태우 강서구청장, 김병수 김포시장과 함께 ‘서울 5호선 김포 연장(방화역∼김포)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에 따라 세 지자체는 수도권 서북부 광역교통망 구축을 위한 과제로 5호선 김포 연장을 추진하고,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추가 검토사업으로 반영된 5호선 김포 연장사업이 신규 사업으로 수정돼 사업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할 방침이다.
이번 협약은 국토교통부가 이날 발표한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 조성계획과 맞물린 것으로, 방화 차량기지와 건설폐기물처리 업체 등의 이전(인수합병, 폐업유도 등 포함) 추진 내용도 담겼다.
앞서 김포 방면 5호선 연장을 위한 관계기관 논의는 김포시 주도로 2017년부터 시작됐으나 그간 의견 차이로 인해 답보 상태에 있었다. 주된 쟁점은 방화차량기지와 건설폐기물처리장(건폐장) 등을 이전하는 문제였다.
서울시는 5호선 종점 방화역에 있는 차량기지와 인근 건폐장의 건설폐기물 처리업체를 김포로 이전해야 5호선을 연장할 수 있다는 조건을 제시했으나, 김포시는 주민 반발 등을 우려하며 난색을 보여 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세 지자체는 차량기지와 건설폐기물 처리업체 이전에 원칙적으로 합의하고, 이 문제에 관한 세부 논의를 전향적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건설폐기물 처리업체는 인수·합병과 폐업 유도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노선과 비용 분담 방안 등 세 지자체 간 협의가 마무리되면 국토부는 이 사업을 2023년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해 예비타당성 조사, 기본계획 수립 절차를 진행한다.
서울시는 “방화차량기지와 건설폐기물 처리업체 이전이 확정되면 사업 타당성이 확보될 전망”이라며 “지자체 시행 광역철도 사업으로 추진돼 서울과 김포가 각각 해당하는 지역 구간에 대한 비용을 분담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노선 연장은 평면 환승이 아닌 직결이 될 전망이다. 평면 환승은 철도를 갈아탈 때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필요 없이 곧바로 맞은편 플랫폼으로 이동하면 되는 구조를 말하며, 직결은 철로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