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9, 22, 24일 세 차례 작성·보고
국방부 “직접 가담 주장한 바 없어”
【투데이신문 정인지 기자】 국방부가 ‘자유시 참변과 연관돼 있다는 의혹’을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 이유 중 하나로 제시하는 가운데, 국방부 직속 군사편찬연구소가 “참변에 직접 가담했다는 기록은 전혀 없다”는 내용을 사전에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홍 장군의 자유시 참변 연관성에 대한 국방부 발표와는 상반되는 내용이다.
28일 본보가 더불어민주당 정성호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군사편찬연구소는 지난 7월 19일과 22일, 24일 총 세 차례에 걸쳐 홍 장군 관련 문건을 작성해 국방부에 보고했다.
19일 작성한 자료에 따르면 군사편찬연구소는 홍 장군의 자유시 참변 개입 여부에 대해 “홍 장군은 참변 이후 열린 군사재판에 재판위원으로 참여하기는 했으나 자유시 참변에 직접 가담했다는 기록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22일 작성한 자료에서는 “홍 장군은 참변에 직접 가담하지는 않았다”면서 “참변을 주도한 군정의회에 합류해 군정의회가 주도권을 갖는데 일조했다”고 설명했다.
홍 장군이 지난 1922년 레닌을 만나 권총 등을 받은 것에 대해서는 “홍 장군은 레닌에게 ‘한국을 해방시킬 수 있게 도와달라’고 요청한 것”이라면서 “항일무장투쟁을 위한 방략으로 소련의 지속적인 지원을 요청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자료에서 군사편찬연구소는 “자유시 참변은 소련의 지원을 받아 항일무장투쟁을 이어가려는 독립군 간 주도권 경쟁”이며 “홍범도 장군의 사회주의 이력도 소련의 지원을 바탕으로 항일무장투쟁을 지속 전개하기 위한 방략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결론 지었다.
이에 반해 국방부는 약 한 달 뒤인 지난달 28일, 홍 장군 흉상 이전과 관련한 입장문에서 “홍범도 장군은 자유시 참변과 연관되어 있다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국방부는 “군사편찬연구소에서 작성한 자료를 포함해 여러 논문 및 책자 등의 자료를 참고했다”면서 “국방부는 홍범도 장군이 자유시 참변사태에서 피해자 측에 대한 공격에 직접 가담했다고 주장한 바 없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르포] ‘부랑자’로 끌려가 암매장된 아동의 묘지는 ‘128cm’ / [웅담 채취 곰 수난사] 사육 산업 끝나면 ‘부랑곰’ 되나
좌우명: 국가가 어째서 개인을, 인간이 뭐라고 동물을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