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신학철 부회장(왼쪽)과 GS칼텍스 허세홍 사장이 3HP 공동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LG화학]
LG화학 신학철 부회장(왼쪽)과 GS칼텍스 허세홍 사장이 3HP 공동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LG화학]

【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국내 석유화학기업 간 협업을 통해 친환경 소재의 핵심 원료인 3HP(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상용화 기술 개발이 진행된다. 전세계적으로 3HP 상업화 사례가 없기에 세계 최초가 될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LG화학과 GS칼텍스는 13일 화이트 바이오 생태계 구축을 위해 공동으로 3HP 사업 가속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지난 12일 LG화학 마곡 R&D 캠퍼스에서 LG화학 신학철 부회장, GS칼텍스 허세홍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3HP 공동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3HP는 식물성 유래 원료의 미생물 발효 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친환경 물질이다. 3HP로 만든 플라스틱은 뛰어난 생분해성과 높은 유연성을 지녀 다양한 일회용품 소재를 대체할 수 있다. 또, 바이오 아크릴산으로 전환돼 기저귀에 적용되는 고흡수성수지 및 도료, 점접착제, 코팅제, 탄소섬유 등 여러 소재의 원료가 될 가능성이 있는 차세대 플랫폼 케미컬로 평가받고 있다.

양사는 앞서 2021년 3HP 양산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협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7월에는 GS칼텍스 여수공장에 3HP 실증플랜트를 착공해 최근 완공했다. 이 공장은 내년 1분기 본격적인 시제품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양사는 공동사업 모델과 제반 사업을 함께 검토할 예정이다. 향후 생분해성 소재와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 상황을 고려해 합작법인 설립 검토 등 다양한 협력 논의가 있을 계획이다.

3HP 기술 개발 시도는 있었으나 전세계적으로 아직 상업화된 사례가 없는 상황이다. 이에 양사의 시제품 생산은 세계 최초 3HP 상용화 사례가 될 전망이다. 이같은 협력을 통해 LG화학의 3HP 발효 원천 기술과 GS칼텍스의 분리정제 공정 기술 및 공정 스케일업 역량 간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LG화학은 2020년 10월 세계 최초로 합성수지와 동등한 기계적 물성 구현이 가능한 생분해성 신소재인 PLH를 개발한 바 있다. GS칼텍스는 바이오케미칼 및 바이오연료 분야에서 사업전반에 대한 밸류체인 구축에 나서고 있다.

LG화학 신학철 부회장은 “양사의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2050 넷제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을 지속적으로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GS칼텍스 허세홍 사장은 “양사 협력을 통해 순환경제 및 탄소저감 기여 등 ESG역량을 강화하고 동시에 고부가가치 제품 사업화를 통한 경제적 가치 창출에 나서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