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 임금근로자 997만6000명 기록
성별 임금 격차 31.2%…OECD 1위
【투데이신문 정인지 기자】 지난해 여성 임금근로자 수가 1000만명에 육박하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졌음에도 성별 임금 격차는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큰 것으로 드러났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 임금근로자는 전년 대비 28만2000명 늘어난 997만6000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196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다.
전체 임금근로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도 56.7%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여성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685만3000명으로 전체의 68.7%를 기록했다. 임시근로자는 280만3000명(28.1%), 일용근로자는 32만명(3.2%)이다.
그럼에도 성별 임금 수준은 여전히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는 수준이다.
지난달 통계청의 ‘한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 이행보고서 2024’에 따르면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지난 2022년 기준 31.2%로 OECD 35개 회원국(평균 12.1%) 중 가장 크다. 임금 격차가 30%를 넘는 국가 또한 한국이 유일하다.
한국에 이어 성별 임금 격차가 큰 국가는 이스라엘(25.4%), 일본(21.3%), 미국(17.0%)이다. 반대로 임금 격차가 낮은 국가는 노르웨이(4.5%), 덴마크(5.6%), 이탈리아(5.7%) 등이며 콜롬비아가 1.9%로 가장 비슷한 수준이다.
임금 격차 원인에 대한 남녀의 분석도 주목된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지난해 만 19~59세 임금근로자 150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복수 응답 가능)를 한 결과, 남성은 ‘여성이 출산·육아로 인해 남성보다 평균 근속연수가 적기 때문(39.6%)’이라고 꼽았다.
이어 남성은 ‘여성들이 기업 내에서 임금을 더 받을 수 있는 힘든 일을 하지 않으려고 해서(30.7%)’,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낮은 비정규직에 여성이 많아서(25.4%)’, ‘기업 내 채용·승진·배치 등에서 성차별이 누적돼 왔기 때문(22.4%)’이라고 짚었다.
반면 여성은 ‘기업 내 채용·승진·배치 등에서 누적된 성차별(54.7%)’을 임금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 선정했다. 이어 ‘출산·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 때문에 여성의 평균 근속 연수가 남성보다 짧아서(51.4%)’,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낮은 비정규직에 여성이 많아서(28.7%)’, ‘음식점·돌봄 서비스 등 여성이 많은 직종의 임금이 상대적으로 낮아서(25.0%)’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여성노동자회 배진경 대표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여성 임금근로자가 늘었다는 것에서 안주하는 것을 넘어 어떤 분야에서 크게 늘었는지를 봐야 하는데, 돌봄 등 저임금 노동자들이 늘어났을 확률이 크다”고 짚었다.
성별 임금 격차의 원인에 대해서는 “두 성별이 지목한 요인 중 어떤 것이 큰 지는 확인해 봐야겠지만, 우리 사회가 분명히 성차별적이라는 것은 명확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르포] ‘부랑자’로 끌려가 암매장된 아동의 묘지는 ‘128cm’ / [웅담 채취 곰 수난사] 사육 산업 끝나면 ‘부랑곰’ 되나
좌우명: 국가가 어째서 개인을, 인간이 뭐라고 동물을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