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39만845원·남성 75만6000원
【투데이신문 정인지 기자】 일하는 여성이 늘면서 국민연금 제도의 혜택을 받는 가입자가 늘고 있으나 여전히 남성과의 격차가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국민연금공단 등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국민연금 여성 가입자 수는 1015만명으로, 지난 1999년 말 472만명 대비 2.2배 증가했다.
전체 가입자 중 여성 가입자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같은 기간 29.0%에서 45.7%까지 상승했다.
특히 수급 연령에 도달하면 받는 일반적인 형태의 국민연금인 ‘노령연금’을 받는 여성 수급자는 지난해 11월 209만명으로, 지난 1999년 말 3만명 대비 62.5배로 크게 늘었다. 같은 기간 노령연금 여성 수급자 비율은 19.5%에서 38.3%으로 증가폭을 보였다.
노령연금을 타는 여성 수급자의 월평균 급여 또한 지난 1999년 말 17만3362원에서 2.25배 증가한 39만845원을 기록했다.
월 100만원 이상의 노령연금을 받는 여성 수급자는 지난 2010년 33명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11월에는 2만6697명으로 급증했다.
다만 남성의 경우 지난해 11월 기준 노령연금 수급자 수 336만명을 기록했으며 이들의 월평균 급여액이 75만6898원, 월평균 100만원 이상 수급자 수가 65만1941명인 것에 비해서는 한참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이 출산과 양육 등으로 경력 단절을 겪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생애주기별로 분석할 때, 20대까지는 남녀의 국민연금 가입률에 차이가 적다. 20대 초반까지는 남성의 군복무 영향으로 여성 가입률이 더 높으나, 30대부터 여성의 가입률이 급격히 낮아지기 시작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다미 부연구위원은 “출산과 양육 등 여성의 생애주기에서 발생하는 경력 단절이 국민연금 가입 단절로 이어지지 않게 크레딧을 확대하는 등 성별 연금 격차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르포] ‘부랑자’로 끌려가 암매장된 아동의 묘지는 ‘128cm’ / [웅담 채취 곰 수난사] 사육 산업 끝나면 ‘부랑곰’ 되나
좌우명: 국가가 어째서 개인을, 인간이 뭐라고 동물을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