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아파트 전경 [사진출처=뉴시스]
서울시내 아파트 전경 [사진출처=뉴시스]

【투데이신문 임혜현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에 최대 5조원을 투입하는 은행·보험권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이 본격 출범한다. 이번 자금 투입으로 경락자금 대출, 자율매각 사업장 인수자금 대출 등 PF 재구조화에 긍정적 영향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2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의 은행·보험업권 PF 신디케이트론 업무협약이 최종 체결됐다. 이는 지난달 14일 정부가 은행·보험권 신디케이트론 조성 방안을 발표하면서 윤곽이 그려진 것. 참여 금융사들은 각 업권 협회와 함께 6차례의 실무회의를 통해 신디케이트론 세부 운영 방안을 마련해 실제 결실을 맺었다.

이번 협약으로 금융사는 우선 1조원 규모로 공동 신디케이트론을 조성해 민간수요를 보강하게 된다. 이어 향후 대출 현황과 시장 상황을 봐가며 단계적으로 규모를 늘리기로 했다. 필요시 최대 5조원까지 론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는 것. 

일정 정도의 사업성을 확보한 부동산 PF 사업장 중 소송 등 법률 리스크가 없고 대주단 간 분쟁이 없는 사업장이 이번 론을 이용할 수 있다. 신청하려는 사업장은 5대 은행 중 한 곳을 선택해 대출 상담을 진행하게 된다. 해당 은행에서 사업자의 사업계획을 고려한 대출 가능 여부, 구체적인 조건 등에 대해 안내받으면 된다.

신디케이트론은 차주 유형 및 자금 용도에 따라 투입된다. 총 4개 유형으로 구분되는 것. 금융위 등에 따르면 ▲경·공매 낙찰을 받아 신규로 부동산 PF사업을 진행하기 희망하는 신규 사업자를 위한 경락자금대출 ▲소유권·인허가권을 양수받아 수의계약으로 사업장을 인수해 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차주를 돕는 자율매각 사업장 인수자금 대출 ▲부실채권(NPL) 금융기관 및 NPL 펀드가 부동산 PF 사업장 NPL 할인매입 과정에서 필요한 자금을 대출하는 NPL 투자기관 대출 ▲정상적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공사비 부족 등 유동성 애로를 겪는 사업장을 돕는 일시적 유동성 애로 사업장 대출 등으로 운영된다.

금융위 김소영 부위원장은 금융권에 “이번 신디케이트론이 부동산 PF사업 정상화를 위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자금을 집행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