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임혜현 기자】 금융지주사들의 올해 상반기 순이익이 지난해 동기보다 3%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4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잠정)’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농협·DGB·BNK·JB·한투·메리츠 등 10개 금융지주사의 상반기 연결당기순이익은 14조55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13조6083억원) 대비 4473억원(3.3%) 증가한 규모다.
금감원에 따르면 금융지주사들의 순이익은 상반기 기준으로 2021년 11조5000억원, 2022년 12조4000억원, 2023년 13조6000억원에 이어 성장세가 지속됐다.
권역별 이익 비중은 은행이 8조7000억원(54.5%)으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보험 2조5000억원(15.3%), 금융투자 2조5000억원(15.3%), 저축은행을 포함한 여신전문금융사(여전사) 등 1조7000억원(10.4%), 기타 7000억원(3.6%)의 순이었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전년 동기 대비 이익 규모는 보험이 2878억원(+13.3%) 증가했다. 한편 은행, 금융투자, 여전사 등은 각각 4553억원(-5.0%), 9423억원(-27.7%), 118억원(-0.7%)씩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90%로 전년말 대비 0.18%포인트 상승했다. 건전성이 소폭 악화된 셈이다. 아울러 손실흡수능력을 판단하는 지표인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21.1%로 전년말 대비 29.6%포인트 하락했다.
금융지주의 부채비율은 26.3%로 전년말 대비 0.9%포인트 하락했다.
금감원은 “금융지주회사의 상반기 기준 총자산과 당기순이익은 2021년 이후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고정이하여신 증가 등에 따라 자산건전성 관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기획: [‘지급거절·모르는 척’ 1등 삼성생명, 오너 지배구조 유지 쓰였나], [소비자 부담·규제패싱 들러리? 현대카드 애플페이, 외화내빈 우려]
좌우명: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오늘의 기록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