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보수 서비스 플랫폼 구성도 [사진출처=한국토지주택공사]<br>
유지보수 서비스 플랫폼 구성도 [사진출처=한국토지주택공사]

【투데이신문 박고은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메타버스, AI 등 미래기술을 활용해 임대주택 유지보수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간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지난 1월 발표된 정부 국정과제인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양질의 주거복지 실현’에 따른 것이다.

LH는 임대주택 입주민에게 접근성 좋은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올해부터 오는 2026년까지 2단계에 걸쳐 ‘유지보수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해 나간다.

‘유지보수 서비스 플랫폼’ 구축 1단계인 유지보수 상담지원 시스템(가칭 트렌드홈, 이하 시스템)은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지난 12일 개발 완료됐다.

시스템은 최근 임대주택 내 IoT, 스마트홈 등 최신 기술이 접목돼 문의 사항이 복잡하고, 시설물 종류가 다양해 유지 보수 접수 처리를 위한 전화 상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됐던 점을 보완하고자 마련됐다.

LH는 내년부터 1단계 개발 완료된 시스템에 챗봇, AI, 빅데이터 등의 기술을 추가 접목해 더욱 고도화할 계획이다.

LH 고병욱 주거복지본부장은 “LH가 관리하는 임대주택이 115만 호가 넘어가는 시점에서 유지보수 서비스를 혁신하는 건 당연한 과제”라며 “정부 국정과제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양질의 주거복지 실현’을 위해 미래기술을 활용해 시·공간 제약 없이 유지보수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고도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