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 정신질환자 가족 10명 중 6명이 돌봄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주변으로부터 차별을 받는다고 인식한 경우도 2명 중 1명 꼴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의 ‘정신질환자 및 가족지원 서비스 확충을 위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해 9월부터 약 8개월간 정신질환자와 정신질환자 가족 2073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정신질환자 가족 중 61.7%가 돌봄 부담이 크다고 느낀다고 답했다.
돌봄 부담은 정신질환자 가족에게 추가적인 정신질환을 야기하기도 했다. 정신질환자 돌봄 이후 가족이 정신질환을 겪은 경우는 전체 중 22.8%에 달했으며, 이들이 진단받은 병명은 우울증 49.3%, 불안장애 20.3%, 조현병 스펙트럼 14.5% 등의 순으로 많았다.
정신질환자 돌봄 중 겪은 정신적 어려움은 ‘부모 등 보호자 사망 후 정신질환자가 혼자 남았을 때의 불안감’이 42.1%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정신질환자 대상 지속적인 돌봄이 이뤄져야 하는 것에 기인하는 스트레스(34.1%)’, ‘정신질환자의 직업 및 취업 문제(20.8%)’, ‘정신질환자의 정신과적 증상 악화 및 응급상황(20%)’ 순이었다.
특히 정신질환자 가족의 20.5%가 스스로 목숨을 끊을 생각을 한 경험이 있으며, 이 중 39.2%가 구체적 계획을 세워봤다고 응답했다.
스스로 목숨을 끊을 생각을 한 주된 원인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양육·수발·돌봄 부담 51%, 자신의 육체 및 정신적 건강 문제 37.3%, 빈곤 등 경제적 어려움 30.9% 순으로 조사됐다.
삶의 만족도 조사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정신질환자 가족은 19.1%로, 일반 국민의 삶의 만족도(42.2%)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다.
또 정신질환자 가족의 56.4%가 친인척, 친구, 이웃 등 주변으로부터 차별을 받는다고 인식했다.
일상생활 전반에서 차별 받았다고 응답한 정신질환자 가족은 33.2%나 됐고, 이밖에도 취업 및 직장생활에서 차별(28.9%), 정신질환발병 원인이 잘못된 태도 등 가족에게 원인이 있다는 인식(25.7%) 등으로 차별을 경험해본 것으로 집계됐다.
복지부 측은 실태조사의 배경에 대해 “정신질환자들의 지역사회로의 안정적인 정착과 회복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를 파악하고자 진행했다”며 “정신질환자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 가족들의 돌봄 경험과 그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처음으로 조사했다는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 이형훈 정신건강정책관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가족과정신질환자의 신속한 조력을 위한 위기개입팀 운영 등 정신응급대응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며 “2025년부터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자립 지원을 위한 주거지원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정신질환자와 가족의 삶과 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식물해방일지, 벼랑 끝 경찰들, 벼랑 끝 소방관
좌우명: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해 쓰겠습니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