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 지난해 700kg가 넘는 마약이 밀수 과정에서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이 관세청·인천국제공항공사부터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세관에 적발된 마약은 총 769kg으로 환산액은 약 613억원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적발량(624kg)보다 18% 증가한 양이며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인 2020년 적발량(148kg)과 비교했을 때 5배 넘게 폭등한 수치다.
가장 많이 적발된 마약 품목은 필로폰(438kg·약 408억원)이었다. 그다음으로는 필로폰을 제외한 임시마약류인 신종마약(합성대마·케타민·LSD 등) 172kg(약 92억원), 대마 143kg(약 72억원), 코카인 11kg(약 39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밀수 경로별로는 국제우편을 통한 밀수입이 327kg으로 가장 많았고, 특송화물 275kg, 직접 반입 148kg 등 순이었다.
세관별로는 인천공항의 본부세관에서 적발된 마약이 649kg(약 540억원)으로 전체 적발량의 87%를 차지했다. 이어 부산본부 46kg(약 28억원), 광주본부 28kg(약 19억원)이 뒤따랐다.
올해 1~7월 세관에 적발된 마약은 총 377kg(약 463억원)으로 지난해 적발량의 49%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신종마약이 총 93kg(약 58억) 규모였으며, 신종마약 품목별로는 엑시터시(MDMA)가 18kg(약 14억)으로 가장 많았고 케타민(15kg·약 22억), 합성대마(15kg·약 11억), 러쉬(5kg·약 0.5억), LSD(1kg·약 3억) 등 순이었다.
관세청은 “해외에 비해 높은 국내 마약가격, 인터넷, 가상화폐 등 비대면 거래의 확산으로 마약밀수 시도가 지속되고 것으로 추측된다”며 “코로나19의 영향에 따른 비대면 거래의 일상화로 국제우편이나 특송화물을 이용한 마약밀수가 대폭 증가한 이후 엔데믹 이후에도 이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 의원은 “최근 항공기를 통한 국제우편과 특송화물 마약밀수가 대폭 증가했다”며 “마약이 일상으로 더는 확대되지 않도록 인천국제공항공사와 관세청, 경찰청 등 관계기관들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식물해방일지, 벼랑 끝 경찰들, 벼랑 끝 소방관
좌우명: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해 쓰겠습니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