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강현민 기자】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6월 독일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클로케 그룹과 체결한 ‘IDT 바이오로지카’의 경영권 지분 인수를 위한 계약 절차를 완료했다고 2일 밝혔다. 회사 측은 이번 인수를 계기로 5년 안에 매출 1조원 시대를 연다는 목표다.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은 “인수 절차가 마무리되며 두 회사가 진정한 의미의 한 가족이 된 만큼 빠르게 경영 안정화를 이루겠다”며 “양사의 역량은 상호 보완성을 갖고 있어 굉장한 시너지를 낼 것이라 기대되며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에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먼저, SK바이오사이언스는 양사의 경영 효율성을 제고하고 사업 확장을 위한 유기적 융합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28년까지 IDT 바이오로지카의 연 매출을 현재의 2배 규모로 키우고, 기업의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 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EBITDA(이자, 세금 및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도 매출의 최대 25% 수준으로 개선한다는 목표다.
IDT바이오로지카의 성장을 기반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가 5년 내 연결 기준 매출 1조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청사진도 내놨다. 가장 먼저 IDT 바이오로지카가 보유한 생산 시설의 가동률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특히, IDT 바이오로지카가 보유한 원액(DS) 및 완제(DP) 생산 시설 중 대형 바이알 제조 설비 등을 글로벌 제약사 중심의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인프라로 구축한다. 동결건조 바이알 제조 라인의 경우 기존 계약된 프로젝트들의 연장과 유망 임상 파이프라인 및 상업성 높은 후기 임상 세포유전자치료제(CGT) 프로젝트 수주에 최적화시킨다. 세포주 제조 기술과 재조합 백신 개발 역량을 추가로 확보해 중대형급 이상의 제품에 대한 위탁생산개발(CDMO) 계약도 신규 추진한다.
추가 투자를 통해 사업 영역의 확장도 꾀한다. 항암 바이러스(OV),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AAV), 렌티 바이러스 등 CGT와 사전충전주사기(PFS), 재조합 백신 등이 고려되고 있다. 이와 함께 독감, 대상포진, 수두, 장티푸스 등 기존 SK바이오사이언스의 주요 제품의 기술 이전 및 생산도 진행할 예정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IDT 바이오로지카의 단기적인 운영 효율성과 수익성 확보를 위해 △배치(Batch) 운영 효율성 제고 △원부자재 관리 개선 △공급망 효율화 △품질 관리 향상 △운영 관리 개선 등도 즉시 착수할 계획이다.
IDT바이오로지카의 빠른 경영 안정화 및 시너지를 위해 클로케 그룹의 카르스텐 클로케 CEO,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 등 주요 경영진이 이사회로 구성된다. 경영진에는 SK바이오사이언스 개발본부를 총괄했던 샐리 최 본부장이 기존 울리히 밸리 CEO와 함께 공동 대표로 선임된다.
한편 이번 인수 과정 중 양사는 서로의 지분을 인수하며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클로케 그룹은 IDT 바이오로지카 지분 40%를 유지하는 동시에 약 760억원의 투자로 SK바이오사이언스 지분 1.9%를 신규 확보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 [OLDs⑧] 코로나19 백신 피해자는 아직 터널 안에 있다
좌우명 : 진실에 가까이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