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게티이미지뱅크] 
[사진제공=게티이미지뱅크]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은퇴를 앞둔 60년대생(만 64세~55세)보다 70년대생(만 50세~54세)들이 주관적 건강 지수, 노후 준비, 돌봄 인식 등 측면에서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모는 물론 자녀 돌봄까지 책임져야 하는 70년대생들이 ‘돌봄 부담의 정점(Peak)’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다.

재단법인 돌봄과 미래는 28일 이 같은 내용의 ‘돌봄 실태와 인식 조사’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올해 5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960∼1974년 태어난 전국 50∼64세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결과를 살펴보면 70년대생(70~74년생·이하 70년대생) 베이비부머 중 25%는 부모와 자녀를 이중 부양하고 있었다. 이는 60년대생의 15%보다 10%나 높았다.

이중 부양자의 월평균 지출 금액은 60년대생 164만원, 70년대생 155만원으로 비슷했다. 

그러나 70년대생이 체감하는 돌봄에 대한 부담감은 60년대생을 크게 웃돌았다. 그중에서도 자녀 부양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70년대생은 자녀 수가 60년대생보다 적음에도 불구하고 지출 규모는 60년대생에 비해 많았다.

60년대생은 평균 2.0명의 자녀를, 70년대생은 평균 1.8명의 자녀를 뒀다. 60년대생의 43%가, 70년대생의 76%가 자녀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하고 있었다.

자녀 부양에 지출하는 금액은 60년대생의 경우 월평균 88만원을, 70년대생은 월평균 107만원을 지출하고 있었다.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부담스럽다’라는 응답은 60년대생 46%, 70년대생 57%로 절반 이상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부모 부양에 대한 조사도 이뤄졌다. 70년대생이 부모 부양에 지출하는 비용은 60년대생보다 적었지만 부담감은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70년대생의 42%는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었으며, 월평균 62만원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60년대생의 경제적 부양 비율(44%)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이들이 부모에게 지출하고 있는 월평균 73만원보다는 낮았다.

그러나 부모에 대한 경제적 지원으로 느끼는 부담에 대해서는 60년대생의 33%가 ‘부담스럽다’라고 답한 반면, 70년대생은 48%가 ‘부담스럽다’라고 답변했다. 이를 두고 돌봄과 미래 김용익 이사장은 “60년대생의 경우 자녀 성장과 독립으로 자녀 부양 부담이 줄어든 반면, 70년대생은 부모 부양과 자녀 교육, 그리고 자신의 노후에 대한 불안감까지 겹치면서 부양에 대한 부담을 과중하게 느끼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60년대생 70%, 70년대생 80%가 현재 일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양쪽 세대 모두 일자리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70년대생의 불안감이 더 높았다.

현재 하고 있는 일을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에 대해 ‘불안감을 느낀다’는 질문에 70년대생의 불안감이 56%로 60년대생의 46%보다 10%나 높게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연금을 받기 전 소득 공백(이른바 소득 절벽)에 대해서도 60년대생의 81%, 70년대생의 91%가 ‘걱정된다’고 답변했다.

이들 중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는 응답은 60년대생 62% 대비 70년대생은 50%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신체 건강에 대해서 ‘좋음’이라는 응답이 60년대생 51%, 70~74년생 40%로 70년대생이 11% 낮았다. 정신 건강 역시 ‘좋음’이라는 응답이 60년대생 75%, 70년대생 62%로 더 적었다.

김 이사장은 “70년대생이 돌봄 부담, 일자리, 노후 준비, 건강 인식 등 조사된 모든 지표에서 60년대생보다 나쁘게 나타난 이유는 부모와 자녀에 대한 부양 부담, 노후에 대한 불안감이 70년대생의 건강 인식에 악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돌봄과 미래 측은 장기적 돌봄 정책의 연구와 개발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김 이사장은 “앞으로 약 10년에 걸쳐 60년대생, 70년대생 베이비부머들이 대거 은퇴를 하게 됨에 따라 돌봄 수요가 폭발하게 될 것이 예상된다”며 “하지만 이들은 과거의 노인과는 다른 사회적 경험을 한 새로운 돌봄 세대로 기존 돌봄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들에 맞춘 장기적 돌봄 정책의 연구와 개발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