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게티이미지뱅크]
[사진제공=게티이미지뱅크]

【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의 부정적 영향이 일반뉴스보다는 더 심각하다는 대국민 설문조사가 나왔다. 응답자의 10명 중 4명은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판별할 수 없다고 답했다.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가 지난 10월 10일부터 지난달 8일까지 ‘딥페이크 가짜뉴스 대응’을 주제로 597명을 조사해 발표한 대국민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4명은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접해봤으며 가장 우려되는 지점은 ‘인격적 피해’로 꼽혔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94.5%는 가짜뉴스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매우 심각함 55.9%·심각함 38.5%)하다고 답했다. 

특히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가 일반적인 가짜뉴스보다 부정적 영향이 더 심각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84.9%에 달했다.

응답자 중 39%는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접해봤으며 41.9%에 달하는 응답자가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판별할 수 없다고 응답했다.

딥페이크 가짜뉴스가 확산되는 1순위 원인으로는 ‘강력한 처벌 등의 법제도가 미비하기 때문’(36.5%)이 지목됐다.

그다음으로는 ▲가짜뉴스가 손쉽게 유통·확산될 수 있는 플랫폼 환경(29.4%) ▲딥페이크를 악용하는 사람(22.2%) ▲가짜뉴스에 대한 피해의 심각성 미인식(11.7%) 등 순이었다.

아울러 피해 예방을 위한 효과적 방법으로 ▲정부의 강력한 입법 및 정책(57.6%) ▲플랫폼 기업의 자체 모니터링과 차단 활동 (22.4%) ▲사용자의 윤리의식 제고 (10.7%) 등이 제시됐다.

딥페이크 가짜뉴스로 인한 피해를 근절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대응 방안으로는 가장 많은 응답자가 범죄자에 대한 처벌 강화(36.8%)를 선정했다. 

이 밖에도 ▲딥페이크 생성물임을 표시하는 워터마크 제도 의무화(26.6%)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모니터링 및 차단 기업 의무 부과(18.93%) ▲딥페이크 탐지 기술 개발 및 보급 지원과 전문인력 양성(9.7%) 등 순이었다.

과기부 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딥페이크 가짜뉴스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효과가 크고 기술 발전에 따라 사실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에 국민이 공감하고 있다”면서 “신속히 법·제도를 정비할 수 있도록 방송통신위원회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