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A와 AMPC 폐지, 배터리 기업 부담 커져
전기차 수요 감소, 배터리 생산 축소 우려
미중 무역 갈등, 국내 배터리 기업 기회
【투데이신문 양우혁 기자】 미국 내 전기차 정책의 변화가 국내 배터리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우려와 대응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전기차 의무화 정책’ 폐지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첨단 제조 생산세액공제(AMPC)의 존속 여부가 배터리 시장의 향방을 가를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IRA와 AMPC 폐지가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들에게 큰 부담을 줄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미국 내 생산 확대를 목표로 하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 SDI, SK온 등의 주요 배터리 기업들은 세액공제 혜택이 사라지면 생산 원가가 급증할 수 있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전기차 수요가 감소할 경우 배터리 수요도 동반 감소할 가능성이 있어, 이로 인해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들의 생산 물량 축소가 불가피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산업연구원(KIET)이 최근 발표한 ‘글로벌 산업통상정책 변화에 따른 한국 배터리 산업 영향과 대응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IRA 세액공제는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미국 내 매출과 영업이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친환경차 구매세액공제가 한국 기업들의 미국 내 배터리 판매량을 26%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으며, AMPC 역시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영업이익 증대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전기차 캐즘(수요 정체) 등의 악화된 업황 속에서도 AMPC가 흑자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전기차 의무화 정책 폐지 여파로 IRA 세액공제의 폐지나 축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보고서는 AMPC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AMPC는 미국 내 배터리 생산 확대와 고용 창출을 유도하는 중요한 정책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자국 내 산업 활성화 기조에 부합한다. 이는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AMPC가 폐지될 가능성보다는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한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의무화 정책 폐지로 전기차 판매가 둔화될 경우, 전기차 수요 감소는 배터리 수요 감소로 이어져, 업계에서도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다양한 시나리오에 맞춰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는 상태다.
한 업계 관계자는 “IRA와 AMPC 폐지 가능성에 대비해 생산 비용 절감, 기술력 강화, 시장 다변화 등의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며, “정책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유연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내연기관차에서 더 높은 수익을 얻기 때문에 전기차 의무화 정책 폐지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반면, 배터리 업계는 전기차 수요 감소로 인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요 감소는 배터리 생산 축소나 시장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ESS 시장으로의 전환을 고려하는 배터리 제조업체들에게도 트럼프 정부의 화석연료 중심 정책이 성장을 제한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내연기관차에서 더 높은 수익을 얻기 때문에 전기차 의무화 정책 폐지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며, "그러나 배터리 업계는 전기차 수요 감소로 인해 치명적인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배터리 제조업체들이 ESS로의 전환을 고려하고 있지만, 트럼프 정부의 화석연료 중심 정책이 계속된다면 ESS 시장 성장에 제한이 있을 것"이라며, "따라서 기술 혁신과 생산 효율성 강화, 고객사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중국發 공급 과잉에 중동 러시까지…“정부 주도로 위기 벗어나야”
좌우명: 유지경성(有志竟成) 다른기사 보기
